[스크랩] 한글 맞춤법 차례차례 알아보기② 띄어쓰기의 원칙만 알면 걱정 끝! 한글 맞춤법 차례차례 알아보기② 띄어쓰기의 원칙만 알면 걱정 끝! 지난 호에서는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과 제3항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띄어쓰기의 원칙을 다룬 제2항을 살펴보겠습니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두 손을 모아-잡다’라고 .. 문학/도서관 2013.09.15
[스크랩] 순우리말 사전 순우리말 사전 - ㄱ ㄱ자집 : 지붕이나 집의 평면이 'ㄱ'자 꼴을 한 집. 가 : 어떤 면의 끝나는 부분이나 바깥 둘레 부분. 가가(假家) : ①'가게'의 방언. 상점 또는 집들. ② 덕. 가개 붕(柵) 널이나 막대기 같은 것을, 나뭇가지나 기둥 사이, 또는 양쪽에 버티어 세운 나무 위에 걸거나 얹 거나 .. 문학/도서관 2013.09.15
[스크랩]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가까와 → 가까워 가정난 → 가정란 간 → 칸 강남콩 → 강낭콩 개수물 → 개숫물 객적다 → 객쩍다 거시키 → 거시기 갯펄 → 개펄 겸연쩍다 →겸연쩍다 경귀 → 경구 고마와 → 고마워 곰곰히 → 곰곰이 괴로.. 문학/도서관 2013.09.15
[스크랩] 맞춤법 총정리 한글 자음이름 영어의 알파벳은 알면서 한글 자음은 제대로 모른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는 지식 이전에 국어를 쓰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상식이기 때문입니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 문학/도서관 2013.09.15
[스크랩] 강영환 지상 시 창작법 강의 (28 )- 현대시란 무엇인가?| 강영환 지상 시 창작 강의 28 현대시란 무엇인가? 우리는 현대시란 말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요즘 쓰여지고 있는 시들을 일컬어 현대시라고 이름한다. 그러면 시인들은 모두 현대시를 쓰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현대시를 지향점으로 삼고 그것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인가? 우리.. 문학/詩論 2013.09.15
현대시조의 특징 현대시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제목을 반드시 붙인다:고시조에서는 연시조의 경우 불과 몇몇 작품에만 제목이 붙어 있을 뿐이다. 현대시조는 내용을 축약(縮約) ·암시할 수 있는 제목을 반드시 붙이는 것이 상례이다. ② 시형(詩形)의 배열이 비교적 자유롭다:고시조는 장별(章別).. 문학/時調 2013.09.15
벌초 벌초 고향길 백일홍꽃 본 호랑나비들이 모여드네요. 꽃에 나비가 모여들지 않으면 꽃이 아니지요. 벌초 운산 최의상 애초기의 날카로운 곡성 잡초들이 쓰러지는 틈에서 낫으로 풀을 베며 부드러운 추억을 왼손 안에 차곡차곡 꽃잎처럼 모으며 낫질 따라 반추를 한다. 즐겁기만 했던 유년.. 문학/최의상 詩人 詩室 2013.09.10
[스크랩] 吾 唯 知 足 오유지족 (吾唯知足)한 삶이란 ? 네모(口)를 中央에 두고 글자가 모여 1개의 글자를 이룸 (너와 내가 만족하니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 모든 것은 마음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또 억지로 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듯 모든 것이 순리대로 풀려야 하고, 모든 것이 진리대로 나아가는 것이다.. 문학/한시 2013.08.28
가을 -1 가을-1 운산 최의상 문 열면 연시 걸린 가지 사이로 냉기 어린 달빛 촉감이 굴러 오네. 기다림이 멈춘 시·공 사색의 향기가 스며든다. 달빛이 서러워 밤 기러기 산 넘는 소리, 산간을 누옥 삼아 별 혜며 잠을 청하네. 1961.10 중부전선에서 문학/최의상 詩人 詩室 2013.08.24
[스크랩] 신인 등단 및 추천 / 9월 5일까지 신인 등단 및 추천 안내- 시와수상문학작가회 임원 및 회원에게 알립니다! 문학은 삶을 사랑하는 소통의 길입니다. 문학은 사람과 사람, 삶과 삶의 소통으로 행복을 여는 열쇠입니다. 시와수상문학작가회 임원 및 회원은 문학의 창작활동으로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막중한 의무와 권리를.. 문학/동시 2013.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