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문학평론

고구려

운산 최의상 2016. 1. 1. 11:00

고구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구려/고려
高句麗/高麗

기원전 37년 ~ 668년
 

History of Korea-Three Kingdoms Period-476 CE.gif
기원후 476년경, 붉은색이 고구려.
수도 졸본 (기원전 37년 ~ 3년)
국내성 (3년 ~ 427년)
평양성 (427년 ~ 668년)
정치
공용어 고구려어 (고대 한국어)
정부 형태 군주제
 • 동명성왕 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
 • 보장왕(말대) 642년 ~ 668년
기타
국교 불교, 도교, 무속신앙
현재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러시아

고구려(高句麗) 혹은 고려(高麗)(기원전 37년? ~ 668년)는 현재 중국 동북부·남부에서 한반도 북부·중부에 걸쳐 생활하던 민족에 의해 건국됐고 전성기에는 만주 남부에서 한반도 대부분을 영토로했다.[1] 수나라당나라를 비롯한 중국의 침공을 종종 격퇴했지만, 당나라·신라의 원정군에 의해 결국 멸망당했다. 백제,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의 고대국가 중 하나이다 지역적으로는 현재의 만주한반도 북부를 약 705여 년 동안 지배했던 국가이다. 장수왕 이후 정식 국호를 고려(高麗)로 변경했으나, 왕건이 건국한 고려와 구분하기 위해 고구려로 통칭되고 있다.

고구려는 전성기 때에 압록강을 중심으로 한반도 북부와 중부 전역, 중화인민공화국지린 성 전역, 랴오닝 성 대부분, 헤이룽장 성 일부, 내몽고 일부, 러시아연해주 일부까지 지배하였다.[2]

 

 

역사[편집]

한국의 역사
韓國史
Gyeongbokgung Palace.png
선사 시대
고조선 시대
  • 단군조선 (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94년)
  • 위만조선 (기원전 194년 ~ 기원전 108년)
  • 진국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2세기)
원삼국 시대
삼국 시대
  • 고구려 (기원전 37년 ~ 668년)
  • 백제 (기원전 18년 ~ 660년)
  • 신라 (기원전 57년 ~ 668년)
  • 가야 (42년 ~ 562년)
남북국 시대
후삼국 시대
통일 왕조 시대
식민지 시대
현대
v  d  e  h

성립[편집]

국호 ‘고구려’의 기원(起源)은 기원전 107년에 한나라 무제(武帝)가 설치한 현도군(玄菟郡)의 고구려현(高句麗縣)에서 유래한다.[3]삼국사기』ㆍ『삼국유사』ㆍ『史記』ㆍ『한서』ㆍ『후한서』ㆍ『삼국지』ㆍ「고구려 초기 對中戰爭의 전개 과정과 그 성격」(여호규, 『東北亞歷史論叢』15, 東北亞歷史財團, 2007)ㆍ「고구려의 기원과 국내성 천도」(노태돈,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서울大學校出版部, 1999)ㆍ「‘高句麗 社會’의 發展과 정치적 통합 노력」(박경철, 『韓國古代史硏究』14, 書景文化社, 1998)ㆍ「玄菟郡考」(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ㆍ「玄菟·臨屯·眞番三郡についての一私見」(首藤丸毛, 『朝鮮學報』93, 1979)ㆍ「玄菟郡考」(和田淸, 『東亞史硏究-滿洲篇-』, 1951)를 보면, 고구려 에 앞서 고구려(高句麗侯)가 나타나는데 현도군(玄菟郡)의 축소 이전에 따라 방기(放棄)된 (縣) 지역의 토호(土豪)가 현후(縣侯)로서 임명됐다.

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부여 왕자라 전해지는 동명성왕이 건국하였다. 부여한사군(漢四郡)과의 투쟁 속에서 성장하였고, 산간지대에 위치한 고구려의 지리적 사정으로 인한 부족한 식량 사정과 부족한 논밭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주변의 비옥한 영토를 정복하는 적극적인 정복 활동과 한漢 군현을 공격하는 대규모 정복전쟁을 벌였다. 중국 사서에서는 무리한 약탈로 인해 중국 천자 왕망의 분노를 일으켰고 고구려 후侯(왕) '추'가 요동군에 소환되어 참수당하였다고 하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오히려 왕망의 군대는 고구려군에 의해 참패 당하였다.[4] 그 후 고구려는 태조왕 때 왕족인 계루부(桂婁部)를 포함한 소노부(消奴部), 절노부(絶奴部), 순노부(順奴部), 관노부(灌奴部) 등 다섯 부족으로 이루어진 연맹 왕국으로 성장했다.

고구려는 이때부터 본격적인 고대 국가로 발전하게 된다. 《삼국사기(三國史記)》〈고구려본기(高句麗本紀)〉에 따르면 기원전 37년? 부여계인 동명왕(東明王)이 졸본(卒本)에 도읍해 나라의 이름을 졸본부여로 한 것이 기원이며, 《위서(魏書)》에 따르면 흘승골성(紇升骨城)[5] 에 도읍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에 언급된 건국 신화 혹은 그 이후의 여러 가지 정황에 의해, 고구려는 멸망한 고조선(古朝鮮) 및 부여(夫餘) 출신의 유이민과 그 지역의 토착 세력이 결합해 이뤄진 국가로 추정되는 등, 건국연대가 더 높았을 것이라는 설이 제시되기도 한다. 기원후 3년에는 동명성왕의 아들 유리왕국내성(國內城)으로 천도하고 위나암성(尉那巖城)을 쌓았고, 국호를 졸본부여에서 고(구)려로 바꿨다.

고구려는 국가적 체계를 마련하고 계속해서 주변 유목 부족과 연맹체들을 침략하여 북옥저와 졸본, 국내성 주변의 지역을 흡수하였다. 고구려가 이렇게 성장하자 이에 대항하는 국가들이 늘었다. 농안을 근거지로 성장한 부여는 기원전 6년13년 침공을 하고 복속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오히려 세력을 키운 고구려가 21년, 부여 정벌을 감행하여 부여왕 (대소왕)을 죽이고 돌아왔다. 이후 부여는 고구려를 섣불리 침공하는 일이 없어졌다. 부여를 물리친 고구려는 더욱 영토를 넓혀갔다. 그러자 28년 한나라가 이에 위협을 느껴 군사를 일으켰다. 하지만 고구려는 국내성에서 농성을 펼치며 막아냈고,32년 낙랑국도 일시적으로 정복하는 등 만주와 북부 한반도에서 위세를 떨쳤다.

53년에 즉위한 태조왕(太祖王) 때에 이르러 고구려의 5부족은 중앙 행정 단위인 5부로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고구려는 내부 자치권을 제외한 군사권과 외교권이 에게 귀속되는 고대 국가로 발전하였고, 이후로 소노부 왕가가 물러나고 계루부 출신의 고씨가 독점적으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따라서 고구려의 진정한 건국은 태조 때로 본다. 그는 주위의 여러 부족을 정복하여 동으로는 옥저·동예(東濊), 남으로는 살수(薩水), 북으로는 부여(夫餘)를 압박하고, 서로는 한의 요동군·현도군과 대립하였다. 그리하여 1세기에서 2세기에 걸쳐 고구려는 고대 정복국가로서의 위세를 떨치게 되었다.

발전[편집]

태조왕 이후에도 각 부족은 서서히 중앙 귀족으로 흡수되었고, 197년에 즉위한 산상왕(山上王) 때에 이르러서는 왕위의 형제상속이 배제되고 부자상속제가 확립되어 왕권이 더욱 강해졌다. 이러한 왕권 강화의 배경에는 영토 확장이 있었는데, 기본적으로 약탈 경제 위주였던 고구려가 동해안의 옥저를 무력으로 복속시키고 한사군에 대한 원정 및 약탈을 행하면서 경제적으로 성장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복 활동은 246년(동천제 16) 위나라(魏)의 관구검(毌丘儉)이 침공하면서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다.[6]

빈농이 늘어나고 귀족의 노예가 되는 자유민이 증가하자, 고국천왕은 194년에 봄에 곡식을 빌리고 가을에 갚게하는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하여 빈농을 구제하는 정책을 펼쳤다. 또한 고국천왕(故國川왕)은 왕위의 형제 상속을 부자 상속으로 확립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후사 없이 죽어 산상왕(山上王) 때에 이르러서야 왕위의 부자상속제가 확고히되었다.

위기와 극복[편집]

한편 후한(後漢) 말기에 중국이 3국으로 분열되어 혼란했던 시기, 요동 일대는 공손씨(公孫氏)의 세력권에 있었다. 북부 중국의 (魏)가 공손씨를 정복하고, 그 세력이 동쪽으로 뻗쳐오자 242년에 고구려 동천왕(東川王)은 압록강 어귀의 서안평(西安平)·구련성(九連城) 지방을 선제 공격했다. 하지만 2년 뒤에 위나라 장군 관구검이 남흉노와 선비족 병력을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246년 고구려는 환도성(丸都城)에서 농성하며 싸웠으나 결국,[7] 함락되어 동천제는 옥저로 피란을 가고 말았다. 다행히 유유의 활약으로 위군을 패퇴시키고 피폐해진 환도성 대신 서쪽 평양성으로 천도하였다.[6]

큰 위기를 겪었던 고구려는 4세기에 이르러 중국이 오호 십육국 시대로 혼란해짐을 틈타 다시 정복 활동을 재개하였다. 미천왕(美川王)은 폭군 봉상왕창조리와 함께 내쫓고, 위(魏)를 이은 진(晋)의 세력이 미약해진 틈을 타서 311년에 진과 낙랑을 잇는 서안평을 점령하였다. 뒤이어 313년 낙랑군(樂浪郡), 314년 대방군(帶方郡)을 복속시킴으로써 한반도에서 중국 세력을 완전히 축출하였다. 이로써 고구려는 압록강 중류 지역을 벗어나 대동강 유역을 정복하게 되어 경제적인 자원을 풍부히 얻게 되고, 남쪽의 백제 등과 국경을 맞대게 되어 남쪽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요동 지역으로 세력을 확대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 지방의 흩어져있는 힘을 조직적으로 통합하지 못하여 그 다음 왕인 고국원왕이 즉위하자 339년에서 343년까지 선비족 모용씨가 세운 전연(前燕)의 모용황과의 전쟁으로 수도가 일시적으로 함락되고 표면상의 복속의 예를 갖추는 치욕을 겪었다. 고구려는 한동안 눈을 남쪽으로 돌려 369년 백제의 치양성을 공격하여 백제를 도발하였다. 그러자 371년 백제의 근초고왕의 역공을 받고 고국원왕이 전사하는 등 큰 국가적 위기를 맞았다.

백제와 북방 민족의 양면 협공을 견디던 고구려는 소수림왕(小獸林王)때에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고구려의 내부적인 개혁을 통해 고대 국가의 체제를 완성하고 중흥을 시도하였다. 소수림제는 372년 전연(前燕)을 멸망시킨 전진(前秦)과 우호관계를 맺고 새로 전래된 불교를 받아들여 이를 국가적인 종교로 삼게 되고, 태학(太學)을 세워서 관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삼았다. 한편으로는 율령(律令)을 반포하여 집권적인 체제를 확립하였다.

광개토태왕[편집]

광개토태왕릉 비문 탁본

소수림왕의 중흥을 기반으로 하여 5세기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 때에는 적극적인 대외 팽창을 꾀하여 대규모의 정복 사업을 단행하였다. 391년 광개토왕이 즉위한 후 고구려는 남쪽으로 백제를 먼저 공략하였다. 392년 백제의 대방땅을 수차례 공격하여 약화 시켰으며, 396년 대대적으로 한성을 포위하였다. 아신왕은 다급히 항복하였고, 고구려에 스스로 복속을 청하였다. 후연(後燕)은 이런 다급한 때에 고구려에게 책봉을 내리는 등 도발하였다. 동맹국 신라가 백제의 후원을 받는 가야·의 공격으로 위기에 처하자 400년 그들을 격파하고 금관가야를 재기 불능 상태에 빠뜨렸다. 하지만 남쪽의 병력집중이 되어서 후연에게 고구려 북쪽 500리땅을 일거에 잃었다.

남쪽을 공략한 광개토왕은 402년부터 후연과의 본격적인 전쟁으로 돌입하였다. 고구려는 요동을 장악하고 이어서 등장한 북연과 친선 관계를 맺어 서쪽을 안정시켰다. 북쪽으로는 부여 및 숙신(肅愼), 거란비려(碑麗)를 복속시켰으며, 동으로는 읍루(挹婁)를 정벌하였고, 동예(東濊)를 완전히 병합하였다. 또한 광개토왕은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영락(永樂)이라는 연호(年號)를 써서 중국과 대등함을 과시했다. 그의 업적은 지금의 만주 통구(通衢)에 있는 거대한 광개토태왕릉비에 기록되어 있다.

평양 천도와 남진 정책[편집]

그 후 413년에 즉위한 장수왕 때에는 대흥안령 일대의 초원 지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한편, 중국 대륙의 남북조와 각각 교류하면서 대립하고 있던 두 세력을 조종하는 다면(多面) 외교 정책을 써서 중국 대륙을 견제하였다. 또 427년(장수왕 15)에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고, 이에 백제는 큰 위협을 느껴 같은 처지에 놓여 있는 신라와 433년에 나·제 동맹을 체결하여 고구려 세력에 대항하고자 하였다.

고구려의 압력을 피할 수 없게 된 백제의 개로왕(蓋鹵王)은 북중국의 북위(北魏)에 사신을 보내 위군의 내원(來援)을 청한 일까지 있었다. 이에 장수왕은 승려 도림(道琳)을 백제에 간첩으로 보내어 경제적 혼란을 일으킨 다음 교묘히 백제 침공의 태세를 갖추었다. 475년 고구려는 백제의 수도 한성(漢城)을 함락하여 한강 유역을 정복하였고, 그로 인해 백제의 개로왕이 전사하고 말았다.

이와 함께 신라를 쳐서 죽령(竹嶺)까지 차지하여 죽령 일대로부터 남양만을 연결하는 선까지 그 판도를 넓히는 적극적인 남진 정책을 펼쳤다. 이와 같이 계속된 대외 팽창으로 고구려는 동북아시아의 패자로 군림하였다. 고구려는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 걸친 광대한 영토를 정복하고 정치 제도를 완비한 강대국을 형성하여 중국의 제국들과 거의 대등한 지위에서 힘을 겨루게 되었다.[8]

장수왕은 공식적인 국명을 고려로 정했다. 하지만 고구려와 고려는 혼용되었다.[9]

국력의 쇠퇴[편집]

무용총 수렵도.

고구려는 6세기 들어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안원왕(安原王) 때에 이르러서는 왕위 계승을 놓고 왕족들 간에 내전이 벌어졌다. 이러한 내분을 틈타 551년 백제와 신라가 연합군을 조직하여 대대적인 영토 회복전에 나서, 한강 유역을 되찾았다. 동일한 시기에 북쪽에서는 돌궐(突厥)이 발흥하였다. 또한 위·진·남북조로 분열된 중국을 589년 수나라가 통일함으로써 고구려는 요동에 위협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때 동아시아의 정세는 돌궐(突厥) ·고구려 ·백제 ·일본을 연결하는 남북 진영과 수(隋:후에는 唐)나라와 신라가 연결하는 동서 세력으로 갈라져 대립상태에 놓였다.[10]

수나라과의 전쟁[편집]

결국, (隋)나라가 중국 대륙을 통일하고 고구려에게 복속을 요구했는데 고구려가 이를 완강히 거부하자, 는 요동군,현도군,낙랑군을 향해 598년, 612년, 613년, 614년에 각각 고구려를 공격한다. 598년 수나라의 초대 황제인 수 문제는 고구려가 영주를 선제 공격하자 이를 계기로 30만 육군과 10만 수군을 보내 반격하였다. 하지만 고구려군에 의해 대패하여 1차 침략은 실패로 돌아갔으며 중국 사서는 요동에 다다르기도 전에 장마로 인해 돌림병이 돌고 군량미도 떨어졌으며, 수군도 풍랑을 만나 본토로 퇴각하였다고 적고 있다.

612년 수 양제는 배구의 건의대로 요동군,현도군,낙랑군을 되찾기위해 113만 대군을 이끌고 요동으로 출병하였다. 수 양제는 내호아를 수군총관으로 임명하여 평양성으로 곧장 향하게 하고, 육군은 요동성으로 진격하였다. 그러나 요동성 군사들과 백성들의 끈질긴 저항으로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결국 수 양제는 우중문우문술을 각각 우장군과 좌장군으로 임명하여 30만의 별동대를 평양으로 직접 보냈다. 그러나 고구려의 을지문덕(乙支文德) 장군이 살수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살수대첩). 결국 수는 이 전쟁으로 국력을 소진하여 멸망하였으며, 고구려 역시 국력에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당나라와의 전쟁[편집]

고구려는 수나라를 뒤이은 (唐)나라와도 대치하였다. 고구려는 당의 공격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았는데, 연개소문(淵蓋蘇文)은 이 공사를 감독하면서 세력을 키웠다. 이에 위협을 느낀 중앙 귀족들이 연개소문을 제거하려 하자 연개소문은 642년 군사 반란을 일으켜 영류왕(榮留王)을 비롯한 귀족들을 모두 살해하고, 보장왕(寶臧王)를 로 세운 뒤 스스로 대막리지(大莫離支)가 되어 정권을 찬탈하였다. 이후 연개소문은 대외 강경책을 펼쳐 648년 신라와 당나라가 연합하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645년 당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이 요동군,현도군,낙랑군을 되찾고 난신적자 연개소문을 치겠다며 공격 해왔으나, 방어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후에는 당나라가 소모전으로 지속적으로 고구려를 공격해 왔으나 그 때마다 격퇴하였다. 하지만 동맹국인 백제가 나·당 연합군에게 패망하고, 주변국들이 대부분 당나라에 복속되면서 고구려는 국제적인 고립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백제를 멸망시킨 그 이듬해인 661년(보장왕 20년)에 당나라는 대규모로 고구려를 공격하였고 평양성이 포위되는 위기를 처했으나 고구려는 잘 막아내었다.

제1차 고구려-당 전쟁

그러나 그 후 고구려의 국내 사정은 변모를 거듭하였다. 당이 융성 일로를 걷고 있었던 것과는 반대로 고구려의 국력은 쇠퇴해 가고 있었다. 60여 년에 걸친 수·당과의 전쟁으로 백성의 생활은 파탄에 직면했고, 국가 재정은 폐탄되었다. 그 위에 동맹국인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 지배층의 내분은 더욱 그 국력을 약화시키고 있었다.

고구려의 멸망[편집]

666년에 연개소문이 죽자 그의 아들 연남생·연남산 형제는 막리지 자리를 둘러싸고 서로 내분이 일어났다. 그 결과 남생은 국내성으로 쫓겨난 뒤 당 고종에게 항복하였으며, 연개소문의 아우 연정토는 신라에 투항하였다. 결국 668년에 고구려는 나·당 연합군에게 멸망하였다.그러나 고구려 멸망 이후 검모잠, 안승 등의 고구려 부흥 운동이 지속되었으며, 안시성과 요동성 및 일부 요동의 성들은 고구려 멸망 이후인 671년까지 당나라에 항전하였다. 또한 보장왕말갈과 함께 복국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 결국 698년에 고구려의 장수 출신인 대조영만주 동부의 동모산 일대에서 발해를 건국하면서 고구려 부흥 운동은 일단락되고, 고구려는 발해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리고 발해가 고구려의 옛 영토를 거의 모두 수복하고, 동북쪽 영토는 고구려보다 더욱 확정했다. 그리고 매우 번영을 해서 해동성국이라고도 불렸다.

중국 역사서에 나타난 고구려의 영토[편집]

구당서의 고구려 강역

원문:

高麗者,出自扶餘之別種也。其國都於平壤城,即漢樂浪郡之故地,在京師東五千一百里。東渡海至於新羅,西北渡遼水至於營州,南渡海至於百濟,北至靺鞨。東西三千一百里,南北二千里。

구당서 - 고구려

번역:고구려는 본래 부여의 별종이다. 그 나라는 평양성에 도읍하였으니, 곧 한나라 낙랑군의 옛 땅이다. 장안에서 동쪽으로 5천 1백리 밖에 있다. 동으로는 바다를 건너 신라에 이르고, 서북으로는 요수를 건너 영주에 이른다. 남으로는 바다를 건너 백제에 이르고, 북으로는 말갈에 이른다. 동서로는 3천 1백리이고, 남북으로는 2천리이다

통전의 고구려 강역

원문:

其地後漢時方二千里。至魏南北漸狹,纔千餘里。至隋漸大,東西六千里。

통전 권186

번역:그 땅은 후한때에 사방 2천리였다. 위나라 때 남북이 점점 좁아져서 겨우 1천여 리였으며, 수나라 때 점점 커져서 동서가 6천리가 되었다.

정치제도[편집]

고구려가 부족 연맹체적인 지배 체제에서 벗어나 고대 국가로서의 관료 조직을 갖추게 된 것은 대체로 율령 정치가 시작된 소수림왕 때의 일이며, 그것이 더욱 정비된 것은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이 후의 일이라고 여겨진다. 고구려의 중심 세력은 본래 소노(消奴)·절노(絶奴)·순노(順奴)·관노(灌奴)·계루(桂婁)의 5부족으로 형성되었다고 한다. 이때의 왕은 부족 연맹장이 되었다. 왕은 선출에서 세습제로 변하였는데 초기는 소노부에서 동명성왕 이후는 계루부에서 세습하였다 한다.

초기에는 국왕 밑에 상가(相加)·대로(對盧)·패자(沛者)·주부(主簿)·우대(優台)·승(丞)·사자(使者)·조의(皁衣)·선인(先人) 등을 두었는데, 이 관계(官階)는 그 후 발전 과정을 통하여 427년 평양천도 이후에 재정비되었다. 관료의 등급은 대체로 12등급으로 분화·발달되었는데 대대로(大對盧)·태대형(太大兄)·울절(鬱折)·태대사자(太大使者)·조의두대형(皁衣頭大兄)·대사자(大使者)·소형(小兄)·제형(諸兄)·선인(仙人) 등으로 나뉘었다. ‘형’은 연장자로, 가부장적(家夫長的) 족장의 뜻을 나타내며 부족 연맹에서 고대 국가로 전환하면서 여러 족장 세력을 이러한 관등에 흡수한 것 같다. ‘사자’가 붙은 것은 씨족원으로부터 등용된 것으로 공부(貢賦) 징수의 직역(職役)을 뜻하는 것 같다. 대대로막리지(莫離支)는 수상격인 고구려 최고의 관직으로 대대로가 평시 행정 담당의 수상이다. 막리지 밑에는 중외대부(中畏大夫)·대주부(大主簿)·고추대가(古雛大加) 등을 두었는데 각각 내정(內政)·외정(外政)·재정(財政)을 맡아보았다.

지방은 동·서·남·북·중의 5부(部)로 나누고, 5부에는 욕살(褥薩)이라는 부왕(副王)급 군관(軍官)과 처려근지(處閭近支)[11] 라는 행정관이 파견되었다. 이들은 각 내부의 여러 성주(城主)를 통솔하여야 했다. 원래 부족 세력의 근거지였을 여러 성(170)은 고구려 왕국의 사적·행정적 단위로 통합되어 있었고 또 부세(賦稅) 등 지방민에 대한 통치가 행해지기 마련이었다.

고구려에는 귀족 회의의 하나인 제가 회의도 있었다.

지방제도[편집]

행정 조직[편집]

초기의 5부족은 그대로 행정구역으로 발전, 수도와 지방을 5부로 나누었다. 계루부(桂婁部)는 내부(內部)[12], 소노부(消奴部)는 서부(西部)[13], 절노부(絶奴部)는 북부(北部)[14]·순노부(順奴部)는 동부(東部)[15]·관노부(灌奴部)는 남부(南部)[16] 라 하였다. 5부 밑에는 성(城)이 있었다.

부에는 욕살(褥薩)이라는 군관(軍官)과 처려근지(處閭近支)[11] 라는 행정관이 파견되었고, 이들은 각 부 내의 여러 성주(城主)를 통솔했다.

그 밑에 각 이원(吏員)이 있어 사무를 분장하였다. 문무의 구별이 체계화되지 못하였던 고구려는 부족 세력의 근거지였던 여러 성을 행정적·군사적 단위로 편성하였던 것 같다.

5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내(畿內)의 뜻인 듯한 내평(內評)과 기외(畿外)의 지방을 의미하는 외평(外評) 제도가 있었다. 또한 평양 천도 후에는 평양 이외에 국내성(國內城, 통구)과 한성(漢城, 재령)의 별경(別京)이 있어 삼경제(三京制)가 성립되었다.

군사제도[편집]

군제(軍制)는 국민개병제와 비슷한 형태로서 국왕이 최고 사령관으로 군사조직도 일원적으로 편제되어, 국내성·평양·한성(漢城 : 재령)의 3경(三京)과 각 성에 상비군을 두고, 변방에 순라군을 두었다. 군관으로는 대모달(大模達)·말객(末客) 등이 있으며, 상비군의 보충은 경당(扃堂)이라는 청년 단체가 맡았다.

군사 무기[편집]

주요 발사 무기로는 고구려에서 국궁과 각궁을 사용했다 또한 석궁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성을 방어할때는 투석병이 있었다. 도끼창(미늘창)은 기병이 사용했다. 고구려의 보병은 창과 칼 두 가지 무기를 사용했다. 첫 번째는 짧은 양날 변형으로 생긴 창으로 대부분 던지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른 하나는 단일 양날 검으로 한나라의 영향력을 받은 칼자루 안에 있었다. 투구는 중앙 아시아 민족이 사용하는 날개 달린 가죽 및 말꼬리 장식과 유사했다. 갑옷은 미늘갑옷이라 군인들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었다. 또한 신발은 밑에 뾰족하게 된 송곳들이 박혀있어 적을 밟을 때 사용했다.

사회 및 경제[편집]

형법[편집]

고구려에서 통치 질서와 사회 기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행한 형법은 매우 엄격하였다. 반역을 꾀하거나 반란을 일으킨 자는 화형에 처한 뒤에 다시 목을 베었고, 그 가족들을 노비로 삼았다. 적에게 항복한 자나 전쟁에서 패한 자 역시 사형에 처하였고, 도둑은 12배를 물게 하였다. 1책 12법이라고도한다. 고구려에서 범죄가 적고 감옥이 없었던 것은 이 때문이다.

남의 가축을 죽인 자는 노비로 삼거나, 빚을 갚지 못한 자는 그 자식들을 노비로 만들어 변상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중대한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들이 모여서 논의하는 제가 회의를 통하여 처벌하였다. 이렇게 엄격한 형법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법률을 어기거나 사회 질서를 해치는 자가 드물었다.

신분제[편집]

고구려의 사회 계급은 귀족·평민(호민, 하호)·노비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치를 주도하며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누린 계층은 왕족인 고씨를 비롯하여 5부 출신의 귀족들이었다. 이들은 그 지위를 세습하면서 높은 관직을 맡아 국정 운영에 참여했다. 또한 각기 넓은 토지를 소유하였으며, 조의, 선인, 대사자, 상가, 고추가 등 관리를 거느리고 있었다.

일반 백성인 평민은 읍락의 지배계층인 호민(豪民)과 피지배계층인 하호(下戶)로 구분되며, 이들은 대부분 농민이었고, 토지 경작과 함께 납세와 병역의 의무를 지며, 토목공사에도 동원되었다. 고구려의 천민인 노비는 포로·죄인·채무자·귀화인 또는 몰락한 평민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신분 계급에 따라 집과 의관(衣冠)에 차이가 있었다.

하호[편집]

주로 생산 활동에 종사한 피지배층 하호는 고구려 본족(本族) 중의 범죄자·낙오자도 있었으나 대부분이 피정복민이었으며 전쟁 때 포로가 된 한족도 있었다.

이들 하호는 신분적으로 노예와 구별되었으나 사회 경제적 위치는 노예에 준(準)하는 예속민으로서 대부분 정복당한 원주지에 살면서 농경을 포함한 생산 활동을 거의 전담하였고, 일부는 고구려에 이주되어 토지의 개척과 농경 등에 사역(使役)되었다. 또 전시에는 지배자의 사병으로 동원되기도 하였다.

토지 제도[편집]

영역 내의 모든 토지는 왕토(王土)라는 의미에서 토지 국유의 원칙이 세워지고, 이 원칙에 입각하여 토지는 분배되었다. 왕실 직속령(直屬領)이었던 것은 물론 전쟁시의 뛰어난 훈공에 의해서 국왕으로부터의 상사(賞賜) 형식으로 수여되는 사전(賜田)이나 식읍(食邑)은 귀족들의 대토지 소유의 원천이 되었다. 사전(賜田)은 세습적인 상속이 인정되었고, 식읍은 자손에게 상속될 수 없었으며, 이들 토지 수급자(受給者)는 국가에 조세(租稅)를 납부하였다. 귀족들에 의한 토지의 사적지배(사유화 과정)는 족장(귀족)·사원(寺院)을 중심으로 장원(莊園)이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귀족들은 토지뿐 아니라 경작하는 예민(隸民)까지 마음대로 지배하였다.

경제[편집]

고구려의 산업은 농업을 위주로 했으며, 국가에서는 농업을 장려하였다. 그러나 농사를 담당한 것은 피지배계급인 일반 농민이었다.

고구려의 세제(稅制)는 세(稅)와 조(組)가 있었는데, 인두세(人頭稅)에 해당하는 세로 포목 5필에 곡식 5섬을 받았고, 조는 민호(民戶)를 3등급으로 나누어 상호가 1섬, 중호가 7말, 하호는 5말을 내었다.

풍습[편집]

고구려는 압록강 중류 유역, 졸본에서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 곳은 산간지역으로 식량 생산이 충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일찍부터 대외 정복 활동에 눈을 돌렸고 사회 기풍도 씩씩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 사람들은 절할 때에도 한쪽 다리를 꿇고 다른 쪽은 펴서 몸을 일으키기 쉬운 자세를 취하였고, 걸을 때도 뛰는 듯이 행동을 빨리 하였다.

고구려 지배층의 혼인풍습으로는 형사취수제와 함께 서옥제(데릴사위제)가 있었는데 3세기 들어 사라졌다. 초기에는 남자가 처가 옆에 마련한 서옥(사위집)에 들어갈 때에 돈과 옷감 등을 예물로 처가에 주었으나[17], 그 이후 남녀 간의 자유로운 교제를 통하여 결혼했는데 남자 집에서 돼지고기와 술을 보낼 뿐 다른 예물은 주지 않았다. 만약 신부 집에서 재물을 받은 경우 딸을 팔았다고 여겨 부끄럽게 생각하였다[18]. 그리고 건국 시조인 동명성왕과 그 어머니 유화부인을 조상신으로 섬겨 제사를 지냈고, 10월에는 추수감사제인 동맹이라는 제천행사를 성대하게 열었다.[19]

《삼국지》〈위서〉동이전 고구려조에 따르면, 동맹 때에는 “나라 동쪽에 큰 수혈(隧穴)이 있어, 10월에 국중대회(國中大會)를 열고 수신(隧神)을 제사지내며, 목수(木隧)를 신좌(神座)에 모신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수신은 주몽의 어머니로 민족적인 신앙의 대상이며, 목수는 나무로 만든 곡신(穀神)을 의미한다. 전 부족적인 제례(祭禮)였던 이 의식에서는 부족원이 무리를 지어 연일 가무를 즐겼다고 한다.

고구려에서는 항상 봄 3월 3일이면 낙랑의 언덕에 사람들이 모여 사냥을 하고, 잡은 돼지와 사슴으로 하늘과 산천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인구[편집]

  • 삼국사기에는 고구려 69만호[20][21] 라고 되어 있고, 구당서에는 69만 7천호[22] 라고 되어있다.

문화[편집]

5-6세기 고구려 지붕 기와의 와당

고구려의 문화는 고구려인의 강건한 기질을 잘 나타낸다.

복식[편집]

지배층의 복식은 한나라(漢)·흉노에서 수입한 비단과 금·은으로 장식되었고, 전사(戰士)들은 머리에 쓴 적(관(冠))에다 깃털을 꽂는 이른바 절풍(折風)을 썼는데 많이 꽂혀있을수록 높은신분을 나타낸다 고구려인은 또한 거대한 분묘와 석총(石塚)을 만들었고, 많은 물건을 시체와 함께 부장하였다.

한문학[편집]

한자와 한문학은 삼국 중에서 가장 빠르게 들여왔으며, 372년(소수림왕 2년)에는 이미 국가에서 유학(儒學)의 교육 기관으로 "태학"(太學)을 세웠고, 민간에서는 각처에 경당(扃堂)을 세워 미혼의 자제들에게 독서(讀書)와 궁술(弓術)을 익히게 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인들 사이에는 유교의 경전(經典)이나, 사기(史記)·한서(漢書) 등의 사서(史書)가 읽혀졌다. 옥편(玉篇)·자통(字統)과 같은 사전류(辭典類)가 유포되었으며, 특히 지식인 사이에는 중국의 문선(文選) 같은 문학서가 많이 읽혔다.

한자의 사용에 따라서 국가적인 사서(史書)의 편찬도 일찍부터 행하여졌다. 그리하여 일찍이《유기(留記)》100권이 편찬되었으며, 이것을 600년(영양왕 11년)에 이문진(李文眞)으로 하여금 간략히 하여 《신집(新集)》5권을 편찬케 하였다. 한자 사용의 근거는 통구의 모두루 묘지(牟頭婁墓誌 : 414년)의 비문(碑文)과 414년에 세워진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의 약 1,800자(字)의 비문으로 능히 알 수 있고, 특히 광개토왕의 비문은 중요한 사료(史料)가 되고 그 고굴(告掘)한 예서(隸書)의 자체(字體)는 서예(書藝)로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시가[편집]

고구려의 시가로는 유리왕(瑠璃王)이 지은 〈황조가(黃鳥歌)〉와 정법사(定法師)의 〈영고석(詠孤石)〉, 을지문덕의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주는 시)〉등이 한시(漢詩)로서 전하고, 그 밖에 〈내원성가(來遠城歌)〉 〈연양가(延陽歌)〉 등이 그 이름만 《고려사》〈악지〉(樂志)에 전한다.

종교[편집]

고구려의 종교는 원시 신앙과 불교·도교로 대별할 수 있는데 원시 신앙으로는 자연물 숭배, 천신(天神)·지신(地神)·조상신(祖上神)의 3신(三神) 숭배와 샤머니즘(shamanism)적 신앙이 있었고, 특히 나라에서는 부여신(河伯女)과 고등신(高登神 : 주몽)을 시조신(始祖神)으로 해마다 4회 제사를 지냈다.

불교의 전래는 372년(소수림왕 2)에 전진(前秦)에서 승려 순도(順道)가 불상(佛像)과 불경을 전래한 것이 그 시초이며,[23] 그 2년 뒤에는 다시 동진(晋)에서 승려 아도(阿道)가 들어왔는데[24], 소수림왕은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를 건립하여 위의 두 불승(佛僧)을 거주케 함으로써[25] 국가적으로 불교를 받아들였다.

불교를 왕실에서 이와 같이 환영하였던 까닭은 불교가 때마침 국민에 대한 사상 통일의 요구에 부합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가 지녔던 호국적(護國的)인 성격이 왕실에 크게 영합되었기 때문이다.

곧 불교는 호국불교(護國佛敎)·현세구복적(現世求福的)인 불교로 신앙되고 발전되었다. 한편, 도교(道敎)는 고구려 말기인 624년(영류왕 7년)에 당 고조(唐高組)가 양국 간의 친선정책으로 도사(道士)를 보내와 전한데서 비롯되었다. 또한 고구려 사신도 벽화를 통해 고구려에 도교가 전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축과 미술[편집]

고구려는 건축·미술에서는 찬란한 문화를 이룩했는데, 대부분의 유적들이 통구와 평양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궁실(宮室)이나 사찰(寺刹) 등 건축물로서 현존하는 것은 없으나 고분의 구조를 통하여 당시의 귀족 계급의 호화로운 건축을 짐작할 수 있다. 고구려의 고분으로는 석총(石塚)과 토총(土塚)의 두 가지 형식이 있다. 석재(石材)를 피라미드식으로 쌓아 올린 장군총(將軍塚)은 통구 지방에 남아 있는 고구려 석총의 대표적인 유적이다.

관(棺)을 안치한 큰 석실(石室)을 축조하고 그 위에 봉토(封土)를 덮은 토총 형식의 대표적인 것은 평양 부근의 쌍영총(雙楹塚)이다. 이와 같은 석실(石室)의 구조와 벽화(壁畵)에 의해서 고구려인의 건축술과 미술의 기량을 엿볼 수 있다. 곧 쌍영총의 현실(玄室)과 전실(前室) 사이에 세워진 각(角)의 두 석주(石柱)와 투팔천정(鬪八天井), 또 그림으로 나타낸 천정의 장식은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엿보게 한다.

고분벽화[편집]

강서대묘 사신도

고구려의 고분 벽화는 고구려인의 신앙·사상이나 풍속·복식(服飾) 등을 설명해 주는 귀중한 자료일 뿐 아니라, 삼국시대 미술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쌍영총의 섬세·화려한 필치로 그려진 인물화나 무용총(舞踊塚)의 무인(舞人)·가인(歌人)의 그림은 고구려인의 풍속·복식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청룡(靑龍)·백호(白虎) 등이 그려진 강서대묘(大墓)의 사신도(四神圖)는 강건한 고구려인의 기질을 잘 나타낸 걸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밖에 수렵총(狩獵塚)·각저총(角抵塚)·수산리 고분·안악 3호분의 고분 벽화가 건축·미술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불교 미술[편집]

고구려의 불교 미술은 중국의 북위(北魏)풍의 영향으로 불상이나 불화(佛畵) 또는 탑파(塔婆) 등의 미술품들이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존하는 유족이나 유물은 극히 드물다. 1940년에 평양 근처에서 발견된 고구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118호)이나 어느 왕의 연호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연가(延嘉)7년이라는 고구려 연호가 새겨진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19호)[26] 이 국내에 남아 있을 뿐이다. 연가7년명금동여래입상은 장수왕(長壽王 : 재위 412~491), 문자명왕(文咨明王 : 재위 491~519) 또는 안원왕(安原王 : 재위 531~545)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1963년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에서 발견되었다.

이 외에 중국 요령성 의현에서 출토된 고구려 금동불상도 있다. 이 불상은 을유년에 제작되었다고 새겨져 있으며, '대고구려국'이라는 국명이 적혀져 있는데, 을유년이 구체적으로 몇 년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크게 논의된 바는 없다. 이 불상 자체가 극히 최근에야 국내에 알려졌기 때문이다.

고구려 문화는 일본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고구려의 화공(畵工)·학승(學僧)이 일본으로 가서 불교문화를 전하는 데 공현하였다. 특히 승려이자 화가인 담징(曇徵)이 그린 벽화는 그 대표적인 일례이다.

음악[편집]

고구려인들은 가무(歌舞)를 즐겼으나 더 이상의 문헌적 고증은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양원왕때의 국상인 왕산악(王山岳)이 진(晋)의 칠현금(七鉉琴)을 개량(改良)하여 거문고를 만들었다 하고 100여 곡(曲)의 악곡(樂曲)을 지었다고 전한다.

문화 교류[편집]

중국[편집]

중국의 북조 및 북방 초원의 여러 민족과 교섭, 바다를 통해 남조와도 교류했다고 한다.

일본[편집]

불교를 전파했으며, 고구려의 승려인 혜자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또한, 고구려의 승려인 담징은 종이와 먹의 제조 방법을 전파하고, 호류 사 벽화를 남겨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대외 관계[편집]

고구려와 현대[편집]

중국은 전통적으로 고구려를 한국의 역사로 봐왔다. 그러나 중국2002년부터 이른바 동북공정이라는 국가적 프로젝트를 추진, 고구려 등의 역사를 중국 역사의 일부로 포함시키려는 수정주의적 움직임을 보여준바 있다.

이에 대한민국에서도 고구려의 역사의 계승을 입증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2004년 고구려 연구재단을 설립하였으나, 2006년에 외교를 뒷받침하기 위해 설립된 동북아 역사재단에 통합되었다. 중국의 동북공정이 한국 사회에 널리 알려지면서 주몽, 연개소문 등 고구려를 주제로 한 여러 역사드라마가 방송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유무형의 문화적 유물들, 생활 습관, 국호 등 고구려와 후대 한반도 왕조들, 또 현대의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부인할 수 없는 연속성이 명명백백함에 따라 200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의 화살은 고구려에서 빗겨난 발해사에 집중되었다.

기타[편집]

고구려(高句麗)의 한국어 독음이 고구려가 아니라 ‘고구리’라는 의견이 있다.[27] 이는 麗의 독음이 나라 이름을 나타낼 때는 ‘리’로 발음된다는 음운 법칙에서 비롯되었다.[28][29][30][31]

그러나 조선시대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나타난 한글 문헌에 따르면, 고구려라 나타나고[32] 《대동지지》에는 “(중국인이나 음운학 책과 달리) 우리나라 사람은 ‘려’라 바꾸어 부르고 있다.”[33] 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나라 이름을 나타낼 때도 麗는 ‘려’로 읽는다는 예외도 있는 등[34][35][36] 해당 주장은 신빙성이 낮다.

한편 장수왕 3년(414년), 69년(481년)에 각각 설치된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의 고려태왕(高麗太王), 호태왕(好太王)이라는 명칭을 근거로 고구려에선 왕들을 '태왕'이라고 칭했다는 의견이 있다.

고구려 왕위 계보[편집]

1.동명성왕(B.C.37~B.C.19)--2.유리왕(B.C.19~A.D.18)----3.대무신왕(18~44)----5.모본왕(48~53)
                               |
                          |---4.민중왕(44~48)
                               | 
                          |----고재사------
                                              |
                                       |--5.모본왕(48~53)
                                              |
                                       |--6.태조왕(?53~?146)
                                              |
                                       |--7.차대왕(146~165)
                                              |
                                       |--8.신대왕(165~179)
                                              |
                                       |9.고국천왕(179~197)
                                              |
         |--10.산상왕(197~227)--11.동천왕(227~248)--12.중천왕(248~270)—13.서천왕(270~292)----14.봉상왕(292~300)
                                              |
         |--고돌고----15.미천왕(300~331)----16.고국원왕(331~371)----17.소수림왕(371~384)
                                              |
         |--18.고국양왕(384~391)---19.광개토왕(391~412)---20.장수왕(412~491)--고조다—21.문자태(명)왕(491~519)----22.안장왕(519~531)
                                              |
         |--23.안원왕(531~545)---24.양원왕(545~559)---25.평원왕(559~590)----26.영양왕(590~618)
                                                                                     |
                                                                          |--27.영류왕(618~642)
                                                                                     |
                                                                          |----고대양(대양왕)—28.보장왕(642~668)
  1. 동명성왕 (고구려의 시조로 즉위)
  2. 유리왕 (동명성왕의 장남으로 즉위)
  3. 대무신왕 (유리왕의 3남, 장남 차남이 모두 죽어 즉위함)
  4. 민중왕 (대무신왕의 아들이 어려 첫째 동생으로 즉위함)
  5. 모본왕 (민중왕이 아들이 없어 대무신왕의 차남이나 장남 호동이 죽어 즉위함)
  6. 태조왕 (모본왕이 시해된 후, 모본왕의 아들을 왕 후보에서 제외하여 유리왕의 아들(또는 손자) 고재사의 아들로 즉위함)
  7. 차대왕 (태조왕을 쫓아내고 즉위, 삼국사기에는 태조왕의 동생이라 하였으나, 후한서신채호 등은 그를 태조왕의 서자라 하였다.)
  8. 신대왕 (차대왕의 동생, 역시 삼국사기에는 태조왕의 동생이라 하였으나, 후한서신채호 등은 그를 태조왕의 서자라 하였다. 차대왕을 시해한 명림답부가 옹립함)
  9. 고국천왕 (신대왕의 차남으로 형 발기를 제치고 즉위)
  10. 산상왕 (고국천왕이 아들이 없고 우왕후가 그를 지원해 고국천왕의 둘째 동생으로 즉위함)
  11. 동천왕 (산상왕의 외아들로 즉위함)
  12. 중천왕 (동천왕의 장남으로 즉위함)
  13. 서천왕 (중천왕의 장남으로 즉위함)
  14. 봉상왕 (서천왕의 장남으로 즉위함)
  15. 미천왕 (봉상왕을 폐위한 창조리에 의해 즉위함)
  16. 고국원왕 (미천왕의 장남으로 즉위함)
  17. 소수림왕 (고국원왕의 장남으로 즉위함)
  18. 고국양왕 (소수림왕에게 아들이 없어 동생으로 즉위함)
  19. 광개토왕 (고국양왕의 외아들로 즉위)
  20. 장수왕 (광개토왕의 장남으로 즉위)
  21. 문자명왕 (장수왕의 아들이 죽어 손자로 즉위)
  22. 안장왕 (문자명왕의 장남으로 즉위)
  23. 안원왕 (안장왕이 아들이 없어 안장왕의 동생으로 즉위)
  24. 양원왕 (안원왕의 장남으로 즉위, 동생과의 권력 다툼 승리로 즉위)
  25. 평원왕 (양원왕의 장남으로 즉위)
  26. 영양왕 (평원왕의 장남으로 즉위)
  27. 영류왕 (영양왕이 아들이 없어 영양왕의 이복동생으로 즉위)
  28. 보장왕 (영류왕의 이복 동생 고대양의 아들, 영류왕을 시해한 연개소문에 의해 즉위함)

참고자료[편집]

함께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동 「고구려 초기 對中戰爭의 전개 과정과 그 성격」(여호규, 『東北亞歷史論叢』15, 東北亞歷史財團, 2007)ㆍ「고구려의 기원과 국내성 천도」(노태돈,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서울大學校出版部, 1999)ㆍ「‘高句麗 社會’의 發展과 정치적 통합 노력」(박경철, 『韓國古代史硏究』14, 書景文化社, 1998)ㆍ「玄菟郡考」(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ㆍ「玄菟·臨屯·眞番三郡についての一私見」(首藤丸毛, 『朝鮮學報』93, 1979)ㆍ「玄菟郡考」(和田淸, 『東亞史硏究-滿洲篇-』, 1951)ㆍ『三國史記』ㆍ『三國遺事』ㆍ『史記』ㆍ『漢書』ㆍ『後漢書』ㆍ『三國志』
  2. 이동 중국의 동북삼성내몽고 서부, 러시아의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통틀어 만주라고 한다.
  3. 이동 『史記』ㆍ『漢書』ㆍ『後漢書』ㆍ『三國志』ㆍ『三國史記』ㆍ『三國遺事』ㆍ「高句麗 初期 對中戰爭의 展開 過程과 그 性格」(余昊奎, 『東北亞歷史論叢』15, 東北亞歷史財團, 2007)ㆍ「高句麗의 起源과 國內城 遷都」(盧泰敦, 『韓半島와 中國 東北 三省의 歷史 文化』, 서울大學校出版部, 1999)ㆍ「‘高句麗 社會’의 發展과 政治的 統合 努力」(朴京哲, 『韓國古代史硏究』14, 書景文化社, 1998)ㆍ「玄菟郡考」(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ㆍ「玄菟·臨屯·眞番三郡についての一私見」(首藤丸毛, 『朝鮮學報』93, 1979)ㆍ「玄菟郡考」(和田淸, 『東亞史硏究-滿洲篇-』, 1951)
  4. 이동 "왕망王莽 제위 초初에 구려句驪의 군사를 징발하여서 흉노匈奴를 정벌하게 하였으나 그들이 [흉노를 정벌하러] 가지 않으려 하여 강압적으로 보냈더니, 모두 국경 너머로 도망한 뒤 [중국의 군현을] 노략질하였다. 요서대윤遼西大尹 전담田譚이 그들을 추격하다가 전사하자, 왕망王莽이 장수 엄우嚴尤를 시켜 치게 하였다. [엄우嚴尤는] 구려후句驪侯 추騶를 꼬여 국경 안으로 들어오게 한 뒤 목을 베어 그 머리를 장안長安에 보내었다. 왕망王莽은 크게 기뻐하면서, 고구려왕高句驪王의 칭호를 고쳐서 하구려후下句驪侯라 부르게 하였다. 이에 맥인貊人이 변방을 노략질하는 일은 더욱 심하여졌다." -후한서 고구려전
  5. 이동 오녀산성
  6. 이동: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05046[깨진 링크]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A"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7. 이동 통구(通溝)
  8. 이동 고구려인들이 스스로 천하의 중심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광개토태왕릉비중원고구려비를 통해 알 수 있다.
  9. 이동 중원고구려비
  10. 이동 http://100.naver.com/100.nhn?docid=722620
  11. 이동: 일명 도사(道使)
  12. 이동 또는 황부(黃部)
  13. 이동 또는 우부(右部)
  14. 이동 또는 후부(後部)
  15. 이동 또는 좌부(左部)
  16. 이동 또는 전부(前部)
  17. 이동 《삼국지》〈위서〉동이전
  18. 이동 《북사》열전
  19. 이동 국사 편찬 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교육 인적 자원부, 서울 2004. 189쪽.
  20. 이동 [유레카] 인구 5000만명 / 정남기
  21. 이동 [고구려인] 당신도 고구려인일 수 있다
  22. 이동 경계해야될 ‘오만’
  23. 이동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二年 夏六月 秦王苻堅遣使及浮屠順道 送佛像經文 
  24. 이동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四年 僧阿道來 
  25. 이동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五年 春二月...始創肖門寺 以置順道 又創伊弗蘭寺 以置阿道 此海東佛法之始 
  26. 이동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
  27. 이동 신복룡 (2001년 12월 20일). 《한국사 새로 보기》 초 2쇄판. 서울: 도서출판 풀빛. 261쪽쪽. ISBN 89-7474-870-3. 
  28. 이동 《획수로 찾는 실용옥편사전》(2002년 1월 10일) 923쪽
  29. 이동 《고금한한자전》(1995년 11월 15일) 150쪽
  30. 이동 《한한대사전》(1996년 5월 25일) p. 1772~1773
  31. 이동 《한·일·영·중 겸용 한한대사전》(1992년 3월 10일) 1195쪽
  32. 이동 《삼강행실도》, 1434년(세종 16) 초간, 중종 연간에 언해, 경남 유형문화재 제160호
  33. 이동 “東人變呼音呂” (김정호, 《대동지지》〈방여총지〉권4, 19세기)
  34. 이동 《한국한자어사전》 권4(1996년 11월 3일) 991쪽
  35. 이동 두산동아(옛 동아출판사 포함)에서 펴낸 《동아백년옥편(탁상판)》(초판 7쇄, 2003년 1월 10일) 2264쪽
  36. 이동 《동아 한한대사전》(1982년 10월 25일) 2181쪽

바깥 고리[편집]

한국의 역사
이전 시대 고구려
기원전 37년 ~ 668년
다음 시대
부여 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