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와 의존명사의 띄어쓰rl
1. 띄어쓰기의 기본은 모든 품사는 앞말과 띄어 쓰고, 조사는 붙여 써야 한다.
2. 품사란?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로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9가지를 사용한다.
3. 의존명사는 띄어 쓰고, 조사는 붙여 쓴다.
① ‘만’ 의 띄어쓰기 -조사 : 난 여행만 좋아한다.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의존명사 : 떠난 지 삼일 만에 돌아왔다.
②‘ 대로’ 의 띄어쓰기 -조사 : 처벌하려면 법대로 해라 너는 너대로 나는 나대로 그곳으로 가자
-의존명사 : 시키는 대로 하겠다.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오세요.
③ ‘뿐’ 의 띄어쓰기
-조사 : 이 학교는 남자뿐이다. -의존명사 : 그녀는 웃을 뿐 말이 없다.
④ ‘만큼’의 띄어쓰기
-조사 : 나도 너만큼 친구가 좋다. -의존명사 : 노력한 만큼 대가가 있다. 까다롭게 검사하는 만큼 잘 해야 한다.
⑤ 햇갈리기 쉬운 조사
-상여금은커녕 ( ~~은커녕 조사이므로 붙여쓴다.) -바로 취직할 수밖에 없었다. (‘바깥에’라는 뜻이 아니고,
'그것 말고는’ 이라는 조사이므로 붙여쓴다) 띄어쓰기를 정복하려면 우리 카페『 한글 맞춤법 』房에 있는
[한글 맞춤법(문교부 고시 제88-1호)]
[ 제5장 띄어쓰기 ]를 인쇄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무조건 외우세요 ! ※ '띄어 쓰다'와 '띄어쓰기'
글을 쓸 때, 각 낱말을 띄어 쓰는 일을 이르는, 언어 관련 전문 용어인 ‘띄어쓰기’는 한 단어입니다.
따라서 ‘아직 저학년의 글이라 띄어쓰기가 미흡하고 원고지 쓰는 법도 틀린 곳이 많다.’ 와 같이
모든 음절을 붙여 '띄어쓰기' 와 같이 적어야 합니다.
그런데 ‘단어를 바르게 띄어 쓰기’와 같이, ‘띄다’의 어간에 방법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어’가 붙은
‘띄어’의 형태로 ‘쓰다’의 명사형 ‘쓰기’를 수식하는 경우에는 ‘띄어 쓰기’와 같이 띄어 적습니다.
'문학 > 詩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좋은글 모음 160가지*감동문자 (0) | 2014.10.21 |
---|---|
[스크랩] <기승전결 [起承轉結]> (0) | 2014.10.21 |
[스크랩] 좋은 시를 쓰려면 (0) | 2014.10.21 |
문취(文趣)도 시인(詩人)인가 (0) | 2014.10.06 |
임홍택 시인의 시세계-조선형 시인 (0) | 2014.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