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詩論

[스크랩] 시 읽기의 방법 / 이은봉

운산 최의상 2013. 7. 13. 18:37

 

시 읽기의 방법

이은봉

 

 

1-1. 화자가 누구인가-서정시의 화자는 창작의 순간에 끊임없이 수정되고, 조정되고, 가공되기 마련이다.

다시 말해 허구화되기 마련이다.

1-2. 그렇다고 하더라도 서정시의 화자는 기본적으로 ‘나’이다. ‘나’이지만 이때의 나는 시인일 수도 있고,

배역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시의 화자가 시인인가, 배역인가를 묻는 것은 중요하다.

1-3. 화자가 시인이라면 주관적(진술적) 화자인가, 객관적(묘사적) 화자인가.

1-4. 배역이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탈을 쓰고 있는가. 아이인가, 어른인가. 남자(소년)인가, 여자(소녀)인가.

배역의 직업이 드러나 있는가, 없는가.

 

2-1. 화자의 위치―화자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어디에 서서 말하고 있는가.

시의 안에 있는가, 시의 밖에 있는가. 수평적인 위치에 있는가, 수직적인 위치에 있는가.

 

3. 화자의 성격

3-1. 주관적 화자인가(일인칭 진술적 화자인가), 객관적 화자인가(3인칭 묘사적 화자인가).

(낭만주의 시에는 일인칭 주관적(진술적) 화자가 많고, 리얼리즘시에는 3인칭 객관적(묘사적) 화자가 많다.)

3-2. 온순한 화자인가, 사나운 화자인가. 여성 화자인가, 남성 화자인가. 어른 화자인가, 아이 화자인가.

소년 화자인가, 소녀 화자인가. 기타 등등.

 

4. 청자-따로 청자가 있는가, 없는가.(대부분의 시는 청자가 따로 없다.

물론 편지 형식의 시는 수신자로서 청자가 있는 경우도 있다.)

 

5. 어조-독백조(혼잣말)-엿들어지는 독백(이는 시의 제시형식이 지니는 기본적인 특징이다.)

 

6. 시점-일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주관적 시점인가, 객관적 시점인가)

일인칭 주관적 고백자/ 진술자/ 해석자/ 의미부여자/ 낭만자 시점인가,

3인칭 객관적 관찰자/ 묘사자/ 진술자/ 해석자/ 의미부여자/ 사실기록자 시점인가.

 

7. 구조-대상의 실제

7-1. 나인가, 너인가, 그인가, 神인가.

7-2. 나-나 구조인가,

7-3. 나-너 구조인가,

7-4. 나-그 구조인가,

7-5. 나-神 구조인가.

7-6. 내가 나에게 말하는가, 너에게 말하는가, 그에게 말하는가, 절대자에게 말하는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8. 대상의 성격

8-1. 긍정적 대상인가, 부정적 대상인가. 연민의 대상인가, 비판의 대상인가. 사랑의 대상인가, 미움의 대상인가.

8-2. 구체(구상)적인 이미지(풍경)인가, 추상적인 관념인가. 객관적인 장면인가, 주관적인 상념인가.

가시적인 이미지인가, 비가시적인 의미인가.

8-3. 모든 이미지는 그 자체로 유의미성을 갖는다. 이미지들이 만드는 풍경이나 장면도 마찬가지이다.

풍경이나 장면의 선택은 곧 세계관의 선택이다.

 

9.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

9-1. 일치, 연민, 애정의 태도를 보여주는가, 미움, 갈등, 고뇌의 태도를 보여주는가. 조화의 태도를 보여주는가,

갈등(대립)의 태도를 보여주는가. 서정적 태도를 보여주는가, 극적 태도를 보여주는가. 조화(사랑)의 태도를 보여주는가,

파도스적 태도를 보여주는가.

 

10. 정서의 특질

10-1. 조화의 정서인가, 대립(갈등)의 정서인가. 서정적 정서인가, 극적(파토스적) 정서인가. 긍정(칭찬)의 정서인가,

부정(비판)의 정서인가.

10-2. 공적 정서인가, 사적 정서인가.

 

11. 구성

11-1. 無聯詩인가, 有聯詩인가? 單聯詩인가, 多聯詩인가? 연이 있는 시인가, 없는 시인가.

11-2. 연이 있다면 연의 기본 형식은 무엇인가. AAB형식인가, ABB형식인가, AABA형식인가, ABAB형식인가,

ABBA형식인가, ABCA형식인가.

11-3. 부연과 나열의 시인가 응축과 압축의 시인가.

11-4. 모두 몇 연이고, 몇 행인가. 연과 행의 배열은 알맞은가.

 

12. 문장

12-1. 모두 몇 문장인가. 문장의 길이는 알맞은가.

어떤 한 문장이 너무 길어 다른 문장과 호응을 이루지 못하는 문장은 없는가.

12-2. 행의 수와 문장의 수가 이루는 관계는 알맞은가.

12-3. 짧고 경쾌한 문장을 쓰는가, 길고 지루한 문장을 쓰는가,

12-4. 근대의 속도감 있는 문장인가, 전근대의 느리고 치렁치렁한 문장인가.

 

13. 형상의 특성

13-1. 진술의 문장인가, 묘사의 문장인가. 진술 위주의 형상인가, 묘사 위주의 형상인가.

13-2. 이미지 위주의 형상인가, 이야기 위주의 형상인가, 정서 위주의 형상인가, 의미(지식) 위주의 형상인가.

 

14. 수사

14-1. 특별히 사용된 수사가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수사는 이 시에서 어떤 역할과 기능을 하는가.

14-2. 수사의 이미지는 물, 불, 공기, 흙 중 무엇인가? 수사의 이미지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원관념)은 무엇인가.

 

15. 핵심 이미지

15-1. 이 시의 씨앗은 무엇인가, 중심 모티프는 무엇인가. 핵심 표현은 무엇인가.

15-2. 시의 씨앗, 시의 종자가 제대로 발현되었는가. 어쨌는가.

 

 

 

출처 : `삶을 시처럼 시를 삶처럼`
글쓴이 : 유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