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詩論

[스크랩] `안-않 / 되-돼` 의 구별사용법

운산 최의상 2015. 4. 15. 20:40

'안'과 '않' '되'와 '돼'는 말을 풀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안'은 '아니'의 준말 , '않'은 '아니하~'의 준말, '되'는 원형의 어근이므로
더 이상 풀어쓸 수 없구요,

'돼'는 '되어'의 준말입니다

예를 들어 보면, '안했다'는 '아니했다'로 풀어 쓸 수 있죠. '안'이 맞습니다.
ex) 안했다, 안된다 등등..

'않았다'는 아니하였다로 풀어쓸 수 있으니 '않'이 맞습니다.
ex) 않고, 않지, 않았다 등등..

즉, '아니'로 풀리는 말은 '안', '아니하였다'로 풀리는 말은 '않'이 맞습니다.

※ '되' 와 '돼'를 구별하는 방법 역시 활용해보면 알 수 있는데

'되다'가 동사원형으로 '되'가 어근, 뒤에 고, 니, 어 등의 어미가 붙어 활용됩니다.

어근인 '되' 혼자서는 사용할 수 없구요..

되고, 되지, 되니, 되어, 되다 등은 더 이상 풀어쓸 수 없죠?

됐고, 됐지, 됐니, 됐어, 됐다 등은 되었고, 되었지, 되었니, 되었다.. 로 풀어쓸 수 있죠?

풀어쓸 수 없을 땐 '되' 풀어쓸 수 있을 땐 '돼'로 씁니다. ^^

안, 않, 되, 돼 의 종합.. '안돼'는 '아니되어'로 풀어쓸 수 있으니 '안돼'로 쓰는 게 맞습니다.

'되'는 독립적으로 쓰일 수 없으므로 '안되'로 쓸 수 없습니다.. ^^



※ 돼/되 구별하는 법


돼/되 가 많이 헷갈리는 건 사실입니다. 그렇죠?

한국어 문법상 '돼/되' 의 구분은 '해/하'의 구분원리와 같습니다.

하지만 '해/하' 는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누구도 헷갈려하지 않지만

'돼/되'는 발음이 똑같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거죠.

무슨 소리냐구요? 해보면 압니다.

'돼' -> '해'
'되' -> '하'
로 바꿔서 생각하면 되는겁니다.

예제를 풀어봅시다.

'안돼 / 안되' -> '안해/안하' 당연히 '안해' 가 맞죠? 따라서 답은 '안돼'

'안돼나요 / 안되나요' -> '안해나요/안하나요' 말할 필요도 없죠?-_- 따라서 답은 안되나요

'~될 수밖에 / ~됄 수밖에' -> '할 수밖에/핼 수밖에' 할 수밖에 가 맞죠? 따라서 답은 될 수밖에

'됬습니다 / 됐습니다' -> '핬습니다/했습니다' 했습니다가 맞죠? 따라서 답은 됐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열 린 바 다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문학 > 詩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시를 잘 쓰는 16가지 방법 / 송수권  (0) 2015.04.15
[스크랩] 수필의 처음과 끝쓰기  (0) 2015.04.15
[스크랩] 시  (0) 2015.04.15
[스크랩] 수필작법  (0) 2015.04.15
[스크랩] 문장 부호  (0) 201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