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한시

漢詩 이야기

운산 최의상 2013. 1. 3. 20:52

 

 

 

                   漢詩 이야기 <정민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보림

 

 

1. 시에는 이상한 힘이 있다.

 

 

산 넘어 저쪽엔

별똥이 많겠지

밤마다 서너 개씩

떨어졌으니.

산너머 저쪽엔

바다가 있겠지

여름내 은하수가

흘러갔으니.

 

이문구 <산 너머 저쪽>

산골에 사는 어린이의 마음이 잘 담겨 있다.

리듬이 느껴진다. 시는 이렇게 말로는 다 표현할 수 없는 생각들을 담을 수 있다.

시에는 정말 이상한 힘이 있다.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시로 쓰면 이상한 울림도 생겨나고, 마음속에 아름다운 그림이 그려지는 것 같다. 우리에게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아도 말없이 서로 통하는 마음이 있다. 시를 좋아하는 것은 이런 느낌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시속에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따뜻한 정이 녹아들어 있다.

 

2. 말하지 않고 말하는 방법

 

사람은 왜 시를 짓고 시를 읽을까?

노자는 스승 상용의 가르침을 청하였다.

"고향을 지나갈 때에는 수레에서 내려 걸어서 가거라. 알겠느냐?"

노자 왈. "선생님. 어디에서 살더라도 고향을 잊지 말라는 말씀이시군요."

자신을 낮추는 예의바른 행동을 말한다.

"높은 나무 밑을 지날 때에는 종종걸음으로 걸어가거라. 알겠느냐?"

노자 왈 "선생님. 어른을 공경하라는 말씀이시지요?."

"내 입 속을 보아라. 내 혀가 있느냐?" "네 있습니다."

"그러면 내 이가 있느냐?" "하나도 없습니다." "알겠느냐?"

노자 왈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겠습니다. 이빨처럼 딱딱하고 강한 것은 먼저 없어지고, 혀처럼 약하고 부드러운 것은 오래 남는다는 말씀이시군요."

스승은 돌아누우며 “천하의 일을 다 말하였다. 더 이상 할 말이 없구나”

고향을 잊지 말고, 어른을 공경하며, 부드러움으로 강한 것을 이기라는 가르침이었다.

이렇게 직접 말하면 될 것을 가지고, 스승은 일부러 빙빙 돌려서 비유를 통해 설명했다.

시라는 것은 직접 말하면 아무 것도 아닌 것을 돌려서 말하고 감춰서 말하는 것이다. 그러는 가운데 저도 모르게 느낌이 일어나고 깨달음이 생겨난다. 이렇게 해서 생겨난 느낌과 깨달음은 지워지지 않고 오래도록 내 마음에 남는다.

 

무덤에 제사지내는 노래                                                      祭塚謠

                                                                                                 조선 중기 이달

 

흰둥개가 앞서 가고 누렁이가 따라가는                               白犬前行黃犬隨

들밭 풀가에는 무덤들이 늘어섰네                                      野田草際塚櫐櫐(얽힐루)

제사마친 할아버지는 밭두둑 길에서                                   老翁祭罷田間道

저물녘에 손주의 부축 받고 취해서 돌아온다.                       日暮醉歸扶小兒

 

일상생활 속에서 쓰는 말은 금세 이야기 할 수 있고 또 다른 생각이 필요 없다.. 그러나 시에서 쓰는 말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한 번 더 생각해 보아야 한다. 좋은 시속에는 감추어진 그림이 많다. 보통 때 같으면 그냥 지나치던 사물을 찬찬히 살피게 해 준다.

 

3.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꽃을 밟고 돌아가니 말발굽에서 향기가 난다. 송 휘종 황제 화제

어지러운 산이 옛 절을 감추었다.

 

<산속> 율곡 이이                                           山中

 

약초 캐다 어느새 길을 잃었지                       採藥忽迷路

천 봉우리 가을 잎 덮인 속에서                      千峰秋葉裏

산 스님이 물을 길어 돌아가더니                    山僧汲水歸

숲 끝에서 차 달이는 연기가 일어난다.            林末茶烟起

 

4. 진짜 시와 가짜 시

 

<산장의 밤비> 고려 고조기                                 山莊夜雨

 

어젯밤 송당에 비가 왔는지                                昨夜松堂雨 송당-소나무로 둘러싸인 산속 집

베갯머리 서편에선 시냇물 소리                          溪聲一枕西

새벽녘 뜨락의 나무를 보니                                平明看庭樹 평명-먼동이 틀 무렵

자던 새는 둥지를 아직 떠나지 않았네                  宿鳥未

 

시에도 진짜 시와 가짜 시가 있을까? 물론 있다. 진짜 시와 가짜 시는 어떻게 구분할까?

겉보기에는 멋있는 것 같은데 읽고 나도 아무 느낌이 남지 않는 시는 가짜 시다. 특별히 잘 쓴 것 같지 않아도 읽고 나면 느낌이 남는 시가 진짜 시다.

숲 속에 작은 오두막집이 있다. 오두막집의 방문은 열려 있다. 주인은 턱을 괴고 창 밖을 바라본다. 숲 속 둥지에선 새가 주인을 마주 본다. 마당은 젖었다. 나무에선 아직도 물방울이 뚝뚝 떨어지는 것 같다. 이 가운데 주인과 둥지 속의 새 사이에 오고 가는 말없는 대화가 귀에 쟁글쟁글 들리는 것만 같다. 자연을 아끼고 생명 있는 것들을 사랑하는 시인의 따뜻한 마음씨가 그대로 전해져 온다. 아무리 기교가 뛰어나도 입을 꽉 다문 할아버지의 그림은 가짜이다.<할아버지가 손자를 안고 밥을 먹이는 그림이 천하의 명화로 이름이 높았다. 그러나 소문을 듣고 세종대왕께서 이 그림을 보시고 인상을 찌푸리셨다. “그리긴 참 잘 그렸다. 그러나 어른이 어린아이에게 밥을 먹일 때에는 저도 모르게 자기의 입이 벌어지는 법이다. 그런데 이 그림 속의 노인은 입을 다물고 있구나. 아! 아깝다.> 비록 덤덤하지만 그 속에 시인의 투명한 정신이 담겨 있을 때 진짜 시가 된다. 겉 꾸밈만으로는 안 된다. 참된 마음이 깃 들어 있어야 한다.

 

5. 다 보여 주지 않는다.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왕유는 <산수화를 그리는 방법>에서 “비가 오는 것을 보여 주려면 하늘과 땅이 구분되지 않고, 동쪽인지 서쪽인지 방향을 알 수 없게 그려야 한다. 바람만 불고 비가 오지 않을 때는 나무의 가지만 그리면 된다. 비는 와도 바람이 불지 않을 때는 나뭇가지 끝을 축 처지게 그리고, 행인은 우산이나 삿갓을 쓰고 어부는 도롱이를 걸치게 그리면 된다.

 

조선 후기의 문장가 박지원의 <종북소선자서>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먼 곳에 있는 물에는 물결이 없고, 먼 곳에 있는 산에는 나무가 없으며, 먼 곳에 있는 사람은 눈이 없다. 말하고 있는 사람은 손으로 어디를 가리키고 있고, 듣고 있는 사람은 두 손을 마주 잡고 있다.” 시도 마찬가지다. 하나한 모두 설명하거나 직접 다 말해 버린다면 그것은 시라고 할 수가 없다. 좋은 시는 직접 말하는 대신 읽는 사람이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혼자 앉아> 조선초기문인 서거정                                獨坐

 

혼자 앉아 찾아오는 손님도 없이                                 獨坐無來客

빈 뜰엔 비 기운만 어둑하구나.                                   空庭雨氣昏

물고기가 흔드는지 연잎이 움직이고                            魚搖荷葉動

까치가 밟았는가 나뭇가지가 흔들린다.                        鵲踏樹梢翻

거문고가 젖었어도 줄에서는 소리가 나고                     琴潤絃猶響

화로는 싸늘한데 불씨는 아직 남아 있다.                      爐寒火尙存

진흙길이 출입을 가로막으니                                      泥途妨出入

하루 종일 문을 닫아걸고 있는다.                                終日可關門

 

시인은 시속에서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다 말하지 않는다. 말하지 않았는데도 그가 하고 싶었던 말을 독자는 다 알아들을 수가 있다.

 

6. 연꽃에서 찾는 여러 가지 의미

 

연꽃구경 고려 문장가 곽예                                           賞蓮

 

세 번이나 연꽃 보러 삼지를 찾아오니                        賞蓮三度到三池

푸른 잎 붉은 꽃은 그때와 변함이 없다.                      翠盖紅粧似舊時

다만 꽃을 바라보는 옥당의 손님만이                         唯有看花玉堂客

마음은 변함없어도 머리털이 희어졌네                       風情未減鬢如絲

 

연꽃을 사랑하는 이유 송나라 유학자 주돈

 

연꽃은 진흙탕에서 나왔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다

맑은 물결에 씻기어도 요염하지가 않다.

속은 비어있고 겉은 곱다.

넝쿨도 치지 않고 가지도 치지 않는다.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다.

꼿꼿하고 깨끗하게 심어져 있다.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어도 업신여겨 함부로 할 수는 없다.

그래서 나는 홀로 연꽃을 사랑한다.

 

빗속의 연꽃 고려 시인 최해도                                         雨荷

 

후추를 팔백 가마나 쌓아 두다니                                 貯椒八百斛(곡) 휘<10말>곡

천년 두고 그 어리석음을 비웃는다.                             千載笑其愚

어찌하여 푸른 옥으로 됫박을 만들어                           如何碧玉斗

하루 종일 맑은 구슬을 다고 또 담는가.                        竟日量明珠

 

연꽃 고려 충선왕의 여인                                                         蓮

 

떠나며 보내 주신 연꽃 한 송이                                            贈送蓮花片

처음엔 너무도 붉었는데                                                     初來的的紅

줄기를 떠난 지 며칠 못 되어                                               辭枝今幾日

초췌함이 제 모습과 똑같습니다.                                          憔悴與人同

 

같은 꽃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된다. 연꽃만 그런 것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다 그렇다. 좋은 시는 어떤 사물 위에 나만의 의미를 부여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시이다.

 

7. 저 매화에 물을 주어라.

 

도산 달밤에 핀 매화 - 퇴계 이황 -                               陶山月夜詠梅

 

홀로 산창에 기대서니 밤기운이 차가운데                     獨倚山窓夜色寒

매화 가지 끝에는 둥그렇게 달이 떳다.                         梅梢月上正團團

살랑살랑 미풍을 기다릴 것도 없이                              不須更喚微風至

온 집 안에 맑은 향기가 절로 가득하다.                        自有淸香滿院間

 

매화 가지 끝의 밝은 달 - 율곡 이이 -                              梅梢明月

 

매화는 본래부터 환히 밝은데                                        梅花本瑩然

달빛이 비치니 물결 같구나.                                          暎月疑成水

서리 눈에 흰 살결이 더욱 어여뻐                                   霜雪助素艶

맑고 찬 기운이 뼈에 스민다.                                         淸寒徹人髓

매화꽃 마주 보며 마음 씻으니                                       對此洗靈臺

오늘 밤엔 한 점의 찌꺼기 없네.                                     今宵無點滓

 

매화 - 조선 중기 시인 권필                                                                              梅花

 

매                                                                                                                  梅

매화                                                                                                               梅

얼음 뼈                                                                                                          氷骨    

옥 같은 뺨.                                                                                                     玉腮

섣달 다 가고                                                                                                  臘將盡

봄 오려 하는데                                                                                               春欲廻

북쪽 아직 춥건만                                                                                           北陸未暖

남쪽 가지 꽃피웠네.                                                                                       南枝忽開

안개 아침에 빛 가리고                                                                                   烟朝光掩淡

달 저녁엔 그림자 배회하니                                                                             月夕影徘徊

찬 꽃술 비스듬히 대숲 넘나고                                                                        冷蘂斜侵竹塢

향기는 날아서 금 술잔에 드누나.                                                                    暗香飛入金罍

흰 떨기 추워 떠는 모습 안쓰럽더니                                                                始憐的礫凌殘雪

바람에 날려 이끼에 지니 애석하도다.                                                             更惜飄颻點綠苔

굳은 절개를 맑은 선비에 견줄 만함을 아니                                                     從知勁節可比淸士

그 우뚝함 말한다면 어찌 보통사람에 비하리                                                   若語 高摽豈是凡才(칠표)

홀로 있음 사랑하여 시인이 보러 감은 용납하지만                                           愛有獨尙容詩人看去

시끄러움 싫어해 나비가 찾아 옴은 허락지 않는도다.                                      厭喧鬧不 許狂蝶尋來

묻노라. 조정에 올라 높은 정승의 지위에 뽑히는 것이                                     試問登廟廊而調鼎鼐者

어찌 옛날 임포 놀던 서호의 위, 고산의 구석만 하겠는가.                                何似西湖之上孤山之隈

 

매화는 추위도 하지 않는 굳세고 맑은 정신을 지닌 꽃이다. 모든 나무들이 추워서 벌벌 떨고 있을 때, 눈 속에서 매화는 꽃을 피운다. 날씨가 따뜻해진 뒤에 꽃이 피는 것은 그렇게 신기한 것이 아니다. 온갖 시련과 역경을 딛고서 모든 사물들이 꽁꽁 얼어 붙은 차가운 눈 속에서 피어난 꽃이기에 옛사람들은 매화를 사랑했다. 단지 그 꽃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그 정신을 사랑한 것이다.

권필의 <매화>시형태를 보탑시(寶塔詩)라 한다. 한시에는 그냥 다섯 자나 일곱 자로 된 것 말고, 이렇게 다양한 형태와 재미있는 규칙을 가진 시들도 많다.

 

8. 사물이 가르쳐 주는 것

 

고개 위의 꽃 - 조선 후기 실학자 박제가 -                爲人賦嶺花

 

“붉다”는 한 단어만을 가지고                                 毋將一紅字

눈앞의 온갖 꽃을 말해서는 안 된다.                        泛稱滿眼花

꽃술에는 맑고 적은 차이가 있으니                          花鬚有多少

꼼꼼히 하나하나 살펴보아라.                                 細心一看過

 

어떤 소설가가 작품에 이렇게 썼다.

“들판에는 이름 모를 꽃들이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다. 이것을 본 그의 스승은 버럭 화를 냈다. ‘이름 모를 꽃이세상에 어디 있어? 네가 그 꽃의 이름을 모른 것이지. 그 꽃에 왜 이름이 없어! 이다위로 소설을 쓰려면 당장에 집어치워.” 정신이 번쩍 든 그 소설가는 그 다음부터는 식물도감을 사 가지고 꽃과 나무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였다. 그 뒤로 그 소설가의 소설 속에서 ’이름모를 꽃‘같은 표현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소설의 배경이 가을이면 가을에 피는 꽃을 찾아 그것을 묘사했다.

 

사물을 바라 보며 - 고상안 -                                                  觀物吟

 

소는 윗니가 없고, 범은 뿔이 없으니                                   牛無上齒虎無角

하늘 이치 공평하여 저마다 알맞구나.                                 天道均齊付與宜

이것으로 벼슬길에 오르고 내림을 살펴 보니                        因觀宦路升沈事

승진했다 기뻐할 것 없고, 쫓겨났다고 슬퍼할 것도 없다.        陟未皆歡黜未悲

 

옛 성현들은 사물 속에서 철학적인 의미를 곧잘 찾아내곤 했다. 옛 선인들은 주변의 사물을 결코 그냥 바라보지 않았다. 생각에만 그치지 않고 깨달음을 실천에 옮겼다.

 

9. 새롭게 바라 보기

 

어떤 사물이 어느 날 갑자기 너무나 낯설게 보이는 수가 있다. 그것을 바라 보는 내 마음이 보통 때와 달랐기 때문이다. 무었이든 새롭게 바라 보면 다르게 보인다. 새롭게 바라 볼 때 우리는 그 사물과 비로사 만날 수가 있다. 시는 이런 만남을 주로 노래한다. 시인은 사물과 새롭게 만나게 해 주는 사람이다.

 

무궁화 - 윤선도 -                                                        木槿

 

오늘 핀 꽃이 내일까지 빛나지 않는 것은                     갑일화무을일휘

한 꽃으로 두 해님 보기가 부끄러워서다.                     일화수향양조휘

날마다 새 해님 향해 숙이는 해바라기를 말한다면         규경일일여빙도

세상의 옳고 그름을 그 누가 따질 것인가.                    수변천추사시비

 

시는 시인이 사물과 새롭게 만나 느낀 감동을 입을 열어 말하지 않고는 견딜 수가 없어서 적은 것이다. 시를 쓸 때에는 남들 보는 대로 보지 않고, 내가 본 대로 느낄 줄 알아야 한다. 시를 통하여 우리는 나와 아무 상관이 없던 사물과 새롭게 만난다. 새롭게 만나려면 새롭게 보아야 한다.

시인은 늘 사물을 새롭게 태어나게 하는 사람이다. 익숙한 것을 낯설게 만든다. 그래서 그 사물을 한 번 더 살펴보게 해 준다. 어느날 내가 그것들을 주의 깊게 살펴 대화할 수 있게 되면 사물들은 마음속에 담아 둔 이야기들을 나에게 건네 오기 시작한다. 시는 사물이 나에게 속삭여 주는 이야기를 글로 적은 것이다.

 

10. 의미가 담긴 말

 

한시 속에는 어떤 단어 안에 사전에 나온는 의미 외에 디른 뜻이 담긴 말들이 많다. 하나의 단어가 특별한 의미를 담고 반복적으로 노래되다 보니 새로운 뜻을 갖게 된 것이다. 이런 새로운 의미를 “정운의(情韻義)라고 한다.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임의 앞에

주무시는 창밖에 심어 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 잎이 나거든 날인가도 여기소서

 

조선시대 홍랑이란 기생이 함경도에 벼슬 살러 온 최경창 시인을 사랑하였다. 임기가 끝나 최경창이 서울로 돌아가게 되었다. 홍랑은 최경창에게 시조 한수를 지어 주며 이별하였다.

옛날에는 친구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질 때 이별의 정표로 버들가지를 꺾어 주는 풍습이 있었다. 버드나무는 꺾꽂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동강 노래 - 조선시대 임제                                   浿江曲 패강-대동강의 옛 이름

 

이별하는 사람들 날마다 버들 꺾어                                離人日日折楊柳

천 가지 다 꺾어도 가시는 임 못 잡았다.                         折盡千枝人莫留

어여쁜 아가씨들 눈물 때문일까                                    紅袖翠娥多少淚

안개 물결 지는 해에 근심만 가득하다.                           烟波落日古今愁

 

평야의 아가씨들은 매일 강변에 나와서, 돌아오지 않는 사람을 그리워하면서 한숨쉬며 눈물을 흘린다. 강물 위에는 그녀들이 흘리는 눈물과 내쉬는 한숨 때문에 안개가 저렇게 자욱하다고 시인은 과장해서 말했다.

 

가을밤 - 당시인 두목                                                         秋夕

 

은 촛대에 가을빛은 그림 병풍에 차가운데                       銀燭秋光冷畵屛

가벼운 비단 부채로 반딧불을 치는구나                           輕羅小扇撲流螢

하늘가 밤빛은 물처럼 싸늘한데                                     天際野色凉如水

견우와 직녀성을 앉아서 바라본다.                                 坐看牽牛織女星

 

한시에 보면 가을 부채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시 속에는 ‘차갑다’와 ‘싸늘하다‘는 표현이 두 번 나온다. 그런데도 그녀는 손에 부채를 쥐고 있다. 추운 가을 밤에 왜 그녀는 손에 부채를 쥐고 있는가? 반딧불이는 원래 인적 없는 황량한 들판에서 날아다닌다. 그런데 그녀의 방까지 날아들었다. 그녀가 살고 있는 곳이 그만큼 황량해졌다는 뜻이다. 그녀는 그것을 인정하고 싶지가 않았다. 그래서 부채를 들어 반딧불이를 내쫓는다. 가을 부채는 시기에 어울리지 않는다. ’가을 부채‘는 버림받은 여인을 상징한다. 이 시는 임금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잊혀진 궁녀의 신세를 노래한 것이다.

처음에 어떤 시인이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할 때 버들가지를 꺾어 주고, 임에게 버림받은 여인을 의미하는 ‘가을 부채’ 로 시를 쓰자, 그 비유가 너무나 알맞았기 때문에 그 뒤로 많은 시인들이 뒤따라 이 표현을 사용하였다. 마침내 이 비유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표현으로 굳어지게 된 것이다.

겉으로 보아서는 별 상관이 없어 보이는 사물들이 생각의 단계를 거쳐 전혀 다른 의미와 연결된다. 한시에는 이런 말들이 많다. 이 情韻義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 시를 훨씬 더 깊이 음미할 수 있다.

 

11. 미치지 않으면 안 된다.

 

옛말에 ‘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不狂不及) 는 말이 있다. 무슨일든지미친 듯한 열정으로 하지 않으면 큰 성취를 이룰 수 없다는 뜻이다.지금 남아 있는 훌륭한 예술 작품이나 문학작품도 피눈물 나는 노력과 미친듯한 몰두 속에서 이루어진 것들이다.

당나라 시인 맹교는 좋은 시를 짓기 위해서라면 칼로 자기 눈을 찌르고 가슴을 도려 내는 고통도 마다하지 않았던 사람이었다. 그는 이렇게 노래한 적이 있다.

살아서 한가한 날 결코 없으리

죽어야만 시를 짓지 않을 테니까.

당나라 노연양 이란 시인도 아주 재미난 시를 남겼다.

한 글자를 꼭 맞게 읊조리려고

몇 개의 수염을 배배 꼬아 끊었던가.

시인은 한 편의 아름다운 시를 남기기 위해 어떤 괴로움도 다 참아 내며 견딘다. 훌륭한 시인은 독자가 뭐라 하든 자신이 만족할 때까지 고치고 또 고친다.

 

12. 시는 그 사람과 같다.

 

패랭이꽃 고려 예종시 시인 정습명                      石竹花

 

세상사람들은 모란을 사랑해서                         世愛牧丹紅

동산에 가득히 심어서 기른다.                          栽培滿園中

그렇지만 황량한 들판 위에도                           誰知荒草野

예쁜 꽃 피어난 줄은 아무도 모르네.                  亦有好花叢

그 빛깔은 시골 연못에 달빛이 스민 듯               色透村塘月

향기는 언덕 위 바람결에 풍겨 온다.                  香傳隴樹風

땅이 후미져서 귀한 분들 오지 않아                   地偏公子少

아리따운 자태를 농부에게 맡긴다.                    嬌態屬田翁

 

시 속의 패랭이꽃은 바로 정습명 자신이다. 나는 패랭이꽃이다. 누구든지 나를 보게 된다면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상관하지 않겠다. 그저 자연 속에 묻혀서 내게 주어진 삶에 충실하며 살다 가겠다. 시인은 세상을 향해 지금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시는 시로 쓴 자기 소개서인 셈이다. 시인이 자신의 존재를 이렇게 패랭이꽃에 비유하여 설명한 것은 참 은근하기도 하고 운치도 있다.

 

13. 치마 위에 쓴 시

 

매조도에 쓴 시 - 정약용 -                    梅鳥圖詩

 

펄펄 나는 저 세가                              翩翩飛鳥

우리 집 매화 가지에서 쉬는구나.         息我庭梅

꽃다운 그 향기 짙기도 하여                有烈其芳

즐거이 놀려고 찾아왔다.                    惠然其來

여기에 올라 깃들여 지내며                 爰之爰棲

네 집안을 즐겁게 해 주어라.               樂爾家室

꽃이 이제 다 피었으니                       華之旣榮

열매도 많이 달리겠네.                       有賁其實

 

 

정약용은 강진 땅에 귀양가 있었다. 서울 집에서 아내가 안부 편지와 낡은 치마를 보냈다. 그 치마에 그림과 시를 적어 보냈다. 두 아들에게 주는 훈계. 시집간 딸에게 그림을 그려 보냈다.

공자가 엮은 <<시경>>이란 옛 시집 속에 실려 있는 시들이 대부분 이런 네글자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전에 있던 시의 표현을 슬쩍 빌려 와서 자신의 생각을 담는 것을 한시에서는 “용사”라고 한다.

 

14. 계절이 바뀌는 소리

 

봄비 - 고려말 충신 정몽주 -                             春雨

 

봄비가 가늘어서 방울도 짓지 못하더니            春雨細不滴

한밤중에 가느다란 소리가 들려온다.               夜中微有聲

눈 녹아 남쪽 시내에 물이 불어나니                 雪盡南溪漲

새싹들이 많이도 돋아났겠다.                         草牙多少生

 

주의 깊게 살펴보면 사물들은 끊임없이 소리를 낸다. 그런데 그 소리는 들을 준비가 되어 있는 사라에게만 들린다.

 

산 절에서 한밤중에 - 조선 시인 송강 정철 -       山寺夜吟

 

쓸쓸히 나뭇잎 지는 소리를                              蕭蕭落木聲

성근 빗소리로 잘못 알고서                              錯認爲疎雨

스님 불러 문 나가서 보라 했더니                      呼僧出門看

“시내 남쪽 나무에 달 걸렸네요.                       月掛溪南樹

 

15. 자연이 주는 선물

 

금강산 - 송시열 -                                金剛山

 

산과 구름 모두 다 하얗고 보니             山與雲俱白

산인지 구름인지 알 수가 없다.             雲山不辨容

구름이 돌아가자 산만 홀로 섰구나.       雲歸山獨立

일만 이천 봉우리 금강산이다.              一萬二千峰

 

세상에는 진짜와 가짜가 섞여 있어 옳고 그른 것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시인은 산과 구름이 섞여서 모습을 알아볼 수 없던 상태에서 구름을 걷어 냄으로써 홀로 우뚝하게 솟은 금강산의 본래 모습을 드러내 보여 주었다.

 

16. 울림이 있는 말

 

달을 기다리며 - 조선시대 능운(기생) -                           待月

 

달 뜨면 오시겠다 말해 놓고서                                    郞云月出來

달 떠도 우리 임은 오시지 않네                                   月出郞不來

아마도 우리 임 계시는 곳에                                       想應君在處

산이 높아 저 달도 느제 뜨나봐                                   山高月上遲

산중문답 - 당대 시인 이백                                        山中問答

나더러 무슨 일로 푸른 산에 사냐길래                          問余何事棲碧山

웃으며 대답 않았지만 마음만은 한가롭다.                    笑而不答心自閑

복사꽃이 흐르는 물에 아득히 떠내려가니                     桃花流水杳然去

인간 세상이 아니라 별천지이다.                                 別有天地非人間

 

추사 김정희의 글

작은 창에 햇볕이 가득하여, 나로 하여금 오래 앉아 있게 한다.

 

17. 한 글자의 스승 (一字師)

 

말은 한 글자가 바뀔 때마다 담긴 뜻이 크게 달라진다. 시에서는 한 글자 한 글자가 모두 소중하다. 한 글자가 제대로 놓이면 그 시가 산다. 그래서 옛이야기 속에는 시인이 한 글자를 가지고 스승으로 삼은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一字師)

 

정지상

 

절에서 독경 소리 끝나자마자

하늘빛이 유리처럼 깨끗해졌다.

 

김부식 봄날                                春日

 

버들 빛은 천개의 실이 푸르고      柳色千絲錄

복사꽃은 만 점의 꽃이 붉다.        桃花萬點紅

 

정지상의 죽은 귀신

 

버들 빛은 실마다 푸르고             柳色絲絲錄

복사꽃은 점점이 붉다.                桃花點點紅

 

판서 오상

 

옛적의 좋은 풍속 땅을 쓴 듯 없어지고                     羲皇樂俗今如掃

다만 봄바람과 술잔 사이에만 남아 있다.                  只在春風酒杯間

 

정승 상진

 

옛적의 좋은 풍속 지금도 그대로 있으니                   羲皇樂俗今猶在

봄바람과 술잔 사이를 살펴보아라                           看取春風酒杯間

 

이민구

 

절벽 옆에 말을 세우니 몸이 너무 피곤해서                千崖駐馬身全倦

나무에 시를 쓰는데 글자가 서지지 않는다.                老樹題詩字未成

 

김상헌

 

절벽 옆에 말을 세우니 몸이 너무 피곤해서                千崖駐馬身全倦

나무에 시를 쓰는데 글자를 반만 쓰고 말았다.            老樹題詩自半成

 

황현 - 압록강 가는길

 

산들바람 불어오자 나귀 걸음이 더욱 빨라지고            微有天風驢更快

봄비가 오고 나자 새가 모두 어여쁘다.                       一經春雨鳥皆姸

 

김택영과 이건창

 

산들바람 불어오자 나귀 걸음이 더욱 빨라지고             微有天風驢更快

봄비가 오고 나자 새가 훨씬 어여쁘다.                        一經春雨鳥增姸

 

말에는 느낌이 있다. 시인은 이 느낌을 잘 음미할 줄 아는 사람이다. ‘철수는 공부를 잘한다’를 ‘철수는 공부도 잘한다’로 한 글자를 바꿔 보자. 말에는 묘한 느낌이 있다.

 

18. 간결한 것이 좋다.

 

시는 글을 다시 한 번 더 압축해 놓은 것이다. 시인은 절대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시에서는 말하지 않는 것이 자세한 설명 보다 좋은 점수를 받는다. 말을 아낄수록 여백이 더 넓어진다.

학생

텅 빈 산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비는 부슬부슬 내리는데 空山木落雨蕭蕭

선생

빈 산 잎 지고 비는 부슬부슬

 

19. 물총새가 지은 시

 

사근역에서 - 조선시대 시인 이경동 -        沙斤驛

 

피곤한 나그네는 턱을 괴고 누워서           倦客支頤臥

날이 다 새도록 시를 짓고 있다.               探詩日向中

비취새의 울음소리 한 번 들리니              一聲聞翡翠

역창의 동쪽에서 울고 있고나.                 啼在驛窓東

 

시인은 시를 통해 사물과 만난다. 이전까지 나와 아무 상관이 없던 사물이 시 속으로 들어오면 문득 달라진다. 나와 사물들 사이에 대화가 오고 가고 마음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내 마음이 그대로 사물에게 전달되기도 하고, 사물들이 품은 생각이내게로 옮겨오기도 한다.

보이지 않게 밀고 당기는 긴장이 생겨나, 한바탕 소동이 일어난다.

비취새는 물총새다. 물고기 잡는 솜씨가 워낙 탁월해서 대장어부(Kingfisher)라 한다. 낚시꾼이란 별명을 가진 이 물총새는 물고기 사냥 솜씨가 뛰어나다.

 

물총새 - 당대 시인 육구몽 翠鳥

 

붉은 옷깃 푸른 날개 알록달록 고운데        紅襟翠翰兩參差

안개 꽃길 날아와 가는 가지 앉았다.          徑拂煙花上細枝

봄물이 불어나 고기 잡기 쉬우니               春水漸生魚易得

비바람도 싫다 않고 앉았을 때가 많구나.    不辭風雨多坐時

 

또한 통쾌하지 아니한가 - 정약용 -              不亦快哉行

 

흰 종이 펴고 술 취해 시를 못 짓더니       雲 片戔(전)闊展醉吟遲

풀 나무 잔뜩 흐려 빗방울이 후두둑         草樹陰濃雨滴時

서까래 같은 붓을 꽉 잡고 일어나서         起把如椽盈握筆

멋대로 휘두르니 먹물이 뚝뚝                 沛然揮洒墨淋漓

또한 통쾌하지 아니한가.                       不亦快哉

 

물총새의 울음소리가 막혔던 생각을 뚫어 주었고, 쏟아진 소나기가 내 생각을 열어 준다. 시에서 이렇게 바깥 사물이 내게로 와서 나와 하나가 되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이것은 시 속에서만 가능한 마술이다. 반대로 시인의 행동이 사물에게로 옮아가는 경우도 있다.

 

밤에 누어 시를 짓다. -박은                                     夜臥誦詩有感

 

베개 베고 시를 얻어 계속 읊조리는데                        枕上得詩吟不輟

마구간에 마른 말이 길게 따라 울음 운다.                   羸驂伏櫪更長鳴

밤 깊어 초승달은 그림자를 만들고                            夜深纖月初生影

고요한 산 찬 소나무는 절로 소리를 낸다.                   山靜寒松自作聲

 

사실 내가 시를 읊조리는 소리와 말 울음소리, 달빛과 솔바람소리는 아무 상관없이 동시에 일어난 우연한 일이었다. 그런데 시인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자기가 낭랑하게 읊은 시 소리를 듣고 마구간에 지친 말은 갑짜기 빨리 길 떠나자고 힝힝거리기 시작했고 달빛도 무슨 일인가 싶어 고개를 디밀고 있으며, 마침내 소나무까지도 소리를 내며 내 목소리에 박자를 맞추더라는 것이다.

 

낮잠 -송대 시인 황정견 六月十七日晝寢

 

말이 콩깍지 씹는 소리에 낮잠이 시끄러워 馬齕枯萁喧午枕

꿈에 비바람이 되어 파도가 강을 뒤집는다. 夢成風雨浪飜江

 

보고 듣는 것이 시인의 눈과 귀를 거치고 나면 모두 시의 재료로 된다. 마구간의 말이 말을 건네 오고, 물총새가 시비를 걸어온다. 소나무도 같이 놀자고 하고, 소나기도 내 마음을 알겠다고 한다. 시속에서는 안 되는 일이 없다. 시인은 하지 못하는 일이 없다.

 

20. 아비 그리울 때 보아라

 

바느질 이옥의 <아조>중에서 雅調중에서

우리 임을 위해서 누비옷을 짓는데 爲郞縫衲衣

꽃 기운 때문에 나른하고 피곤해서 花氣惱憹倦

바늘을 돌려 감아 옷섶에 꽂아 두고는 回針揷襟前

앉아서 <숙향전>을 읽었답니다. 坐讀淑香傳

아침 문안 - 이옥 - 雅調중에서

새벽 두 시에 일어나 머리를 빗고 三更起梳頭

네 시에는 시부모님께 아침 인사를 올리죠 五更候公姥

친정집에 돌아가기만 하면 誓將歸家後

밥 안 먹고 대낮까지 잠만 잘래요. 不食眠日午

 

잠노래 - 민요 -

잠아 잠아 오지마라

시어머니 눈에 난다.

시어머니 눈에 나면

임의 눈에 절로 난다.

마을 아낙네 - 이양연 - 村婦

 

자네 친정은 멀어서 오히려 좋겠네 君家遠環好

집에 가지 못해도 할 말이 있으니까 未歸猶有說

나는 한동네로 시집와서도 而我嫁同鄕

어머니를 삼 년이나 못 뵈었다네. 慈母三年別

이렇게 문학은 사람들에게 꿈을 주고 희망을 주고 용기를 준다.

 

21. 도로 네 눈을 감아라

 

장님 소년이 눈을 떳다. 장님때는 길을 훤하게 알기 때문에 잘도 찾아 갔다. 그런데 그렇게 소원하던 눈이 떠졌는데 집을 찾아갈 수가 없다. 눈을 뜨고 보는 세상은 너무도 어지러웠고 방향을 알 수가 없었다. 모든 것이 뒤죽박죽이 되었다. 서경덕 선생은 집을 가는 방법을 그 소년에게 가르쳐 주었다. “ 다시 눈을 감고 가라고 하였다. 요즘세상 그 많은 정보를 내가 판단하고 내가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나 자신의 주인이 되는 일이다. 내 집을 잃어버리지 않으려면 내 집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우리가 한시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은 바로 내가 나 자신의 주인이 되게 만드느 힘이다.

 

<야생초 편지>

 

나무의 종류

능소화, 배롱나무, 자귀나무, 등나무, 수수꽃다리, 작살나무, 조팝나무, 보리수, 찔레나무,

으름덩굴나무, 가래나무, 가래나무, 대추나무,모과나무, 때죽나무, 오미자나무, 산유수,

아그배나무

사람을 생긴 그대로 사랑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이제야 조금을 알겠다.

평화는 상대방이 내 뜻대로 되어지길

바라는 마음을 그만둘 때이며

행복은 그러한 마음이 위로 받을 때이며

기쁨은 비워진 두 마음이 부딪힐 때이다.

'문학 >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吾 唯 知 足  (0) 2013.08.28
[스크랩] 채희규 서화전  (0) 2013.07.19
가정용 한자 교본  (0) 2012.12.27
是人也/孟子  (0) 2012.12.27
看竹門/柳成龍  (0) 201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