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속의 오늘]
1988년 월북문인 120여명 해금
실제로 사상의 굴레에 갇혀 호명되지 않는 작가들에 대해 국문학계는 목말라 했던 터였다. 식민지 시대 중요한 분파였던 카프(KAPF·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광복 직후 좌우이데올로기의 첨예한 대립 등 빼놓지 말아야 할 문학사적 이슈들에 대한 논의는 오랫동안 금기시됐다. 이데올로기의 이분법에서 점차 벗어나고, 대학에서 월북 문인에 대한 논의가 상당히 진행됐다는 현실에 발맞춰 월북 문인에 대한 연구 성과물의 발표와 판매가 1987년 10월에 허용됐다.
이듬해 3월 납북이냐 자진월북이냐의 논란 때문에 묶여 있던 ‘향수’의 시인 정지용, 탁월한 모더니스트 시인 김기림이 해금됐다. 이어 7·19조치를 통해 전면적인 해금이 단행됐다.
숨겨 놓고 몰래 봐야 했던 자료들이 드디어 햇빛을 보게 됐다. 식민지 시대 신문과 잡지에 발표됐던 월북 문인들의 작품이 적극적으로 발굴돼 세상에 알려졌다. 한국문학사를 정리하는 저서들이 새롭게 쓰였다. 7·19조치는 정치의식과 역사의식이 성숙해진 증거이기도 했지만, 꼭 짚어야 함에도 ‘월북’이라는 꼬리표 때문에 언급하지 못했던 작가들로 인해 불구 상태였던 현대한국문학사를 온전하게 복원하는 계기가 됐다.
‘문장강화’로 잘 알려진 소설가 이태준, 서정주와 더불어 3대 천재 시인으로 불렸던 이용악과 오장환의 아름다운 시편도 모든 독자가 함께 누릴 수 있게 됐다. 따뜻하고 서정적인 시어로 식민지 시대 모국어를 지킨 시인들의 의지가 한국문학의 결핍된 부분을 풍요롭게 채워 주었다.
특히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로 잘 알려진 백석은 해금 이후 많은 이의 사랑을 받고 있다. 문학평론가 김현이 ‘한국 시가 낳은 가장 아름다운 시 중 하나’로 격찬한 백석의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의 몇 구절.
‘딜옹배기에 북덕불이라도 담겨오면,/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 위에 뜻 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쌔김질하는 것이었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
동아일보,2007.7.19
해방전후 월북 월남 재북 문인들
이북명. 한설야. 최인준. 이찬
(2)1945년에 북한에 정착한 문인: 이기영. 안막. 송영. 박세영. 윤기정
(3)1946년에 월북한 문인: 홍명희
(4)1947년에 월북한 문인: 이태준. 임화. 지하련
(5)1948년부터 1950년 6.25 때까지 월북한 문인: 김남천. 이원조. 안희남. 허준. 김동석. 오장환.
임학수. 김영석. 박찬모. 조영출. 조남령. 김오성. 주영섭. 윤규섭. 황민. 이서향. 한효. 이동규.
박세영. 박팔양. 송영. 윤기정. 신고승. 이갑기. 조벽암. 함세덕. 이근영. 지봉문. 박산운. 엄홍섭.
조운. 황하일
(6)6.25 이후 월북한 문인: 설정식. 이용악. 박태원. 양운한
(7)빨치산 활동 중 사망한 문인: 김태준. 유진오(시인). 이흡
(8)6.25 이전에 월남한 문인: 김동명. 안수길. 김진수. 임옥인. 황순원. 구상. 최태응. 오영진. 유정
(9)6.25 이후에 월남한 문인: 김이석. 박남수. 장수철. 박경종. 김영삼. 이인석. 양명문.
(10)6.25 중 납북 문인 : (시인) 김억. 정지용. 김동환. 박영희. 김기림. (소설가) 이광수
*윤병로의 "한국 근현대 문학사"에서*
'문학 > 작가와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월북문인 - 박태원 (0) | 2012.11.24 |
---|---|
[스크랩] 월북 지식인(문인)들의 행로 (0) | 2012.11.24 |
[스크랩] 순수문학은 과연 순수한가? (0) | 2012.11.24 |
[스크랩] 서정주 - 채만식 친일논쟁 (0) | 2012.11.24 |
[스크랩] 친일 문학인-자료(12명의 작가) (0) | 2012.11.24 |